[홍성군다문화]캄보디아 바이욘

  • 다문화신문
  • 홍성

[홍성군다문화]캄보디아 바이욘

  • 승인 2024-12-02 09:53
  • 신문게재 2024-12-03 11면
  • 김재수 기자김재수 기자
홍성군다문화
캄보디아 바이욘
앙코르의 심장부에 자리한 바이욘 사원은 마치 시간의 물결 위에 떠 있는 거대한 꿈과도 같다.

자야바르만 7세의 비전이 돌과 영혼으로 빚어낸 이 걸작은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한 왕국의 영광과 고뇌를 담은 살아있는 역사서다.

회랑을 따라 펼쳐지는 부조 벽화는 마치 과거로의 창문과도 같아, 우리를 크메르인들의 일상으로 초대한다. 그러나 시간은 무자비했고, 승리의 기쁨을 새긴 이 돌들은 후대의 광기 앞에 무력했다. 부처의 미소는 지워졌고, 평화의 상징들은 파괴되었다. 그럼에도 바이욘은 끈질기게 살아남았다. "승리의 산"이라 불렸던 이곳은 이제 인간의 끝없는 갈등과 화해의 증인이 되었다. 네 개의 얼굴을 가진 거대한 탑들은 마치 세상의 모든 방향을 응시하는 듯하다. 그 얼굴들의 정체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그것이 무엇이든 우리에게 말을 걸고 있음은 분명하다.

오늘날 바이욘은 또 다른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일본의 전문가들의 손길 아래 서서히 그 옛날의 영광을 되찾아가고 있다. 그러나 진정한 복원은 우리의 마음속에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바이욘이 전하는 메시지, 승리와 패배, 창조와 파괴,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초월하는 영원한 미소를 이해할 때 비로소 우리는 이 위대한 유산의 진정한 수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명예 기자 앙나리 (캄보디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8개 잔여공구 발주 요청… 건설업계 '예의주시'
  2. 완성형 행복도시의 미래 '5~6생활권'...앞으로가 중요
  3. '올해가 마지막' 지역대 글로컬대학30 향해 막판 스퍼트
  4. [사설] 지자체 재난관리기금이 의료공백 ‘쌈짓돈’인가
  5. [2025 대전서부교육청] 박세권 교육장 "직원들 힘 합쳐야 일선 학교에 효과'"
  1. [사설] 지역 수출기업 '관세전쟁' 파고 대비를
  2. 충남도, 올해 첫 추경으로 소상공인 현물 지원 575억 반영 요구
  3. [2025 대전서부교육청] 인성과 학력, 균형 잡힌 교육으로 미래 준비
  4. 대전교육청 AI디지털교과서 희망 학교대상 도입… 구독료 미정 등 혼란할 듯
  5. [춘하추동]20년 후 우리의 미래는?

헤드라인 뉴스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지역 사립대 등록금 줄인상 "재정 부담으로 불가피"

대전권 대학들이 장기간 등록금 동결로 인한 재정 부담을 견디지 못하면서 십 수년 만에 등록금 인상을 결정했다. 등록금을 내야 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은 치솟는 물가상승률에 학비 인상까지 더해져 시름이 깊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5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대학 등록금심의위원회 결과 대전대를 제외한 4년제 사립대 모든 곳이 등록금을 인상한다. 이 중 한남대가 5.49%로 인상 폭이 가장 크다. 한남대는 2011년 인문대학, 간호대학 등 특정 단과대학에 한해 등록금을 최대 7.7% 인상한 바 있다. 그러나 2012년 5% 인하를 시작으..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27. 대전 유성구 봉명동 일대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 미분양 급증…비수도권 ‘DSR 한시 완화’ 등장할까

지방을 중심으로 악성 미분양 사태가 급증하면서 비수도권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한시 완화 시행 여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당은 DSR 한시 완화를 통해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구입을 촉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최대한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5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 173세대로 집계됐다. 수도권 미분양은 1만 6997세대로 전월보다 17.3%(2503세대) 늘었고, 지방은 5만 3176..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공정선거’…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한 달 앞으로

  •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한파에 폐렴 위험까지…마스크 쓴 시민들

  •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대전보건대학교 학위수여식

  •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용신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