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상가 공실 박람회 기간 열린 해법 토론회 모습. 사진=세종시 제공. |
세종시와 행복도시건설청, LH 세종본부 등 관계기관이 2019년부터 상업용지 축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해법을 찾고 있으나 좀처럼 기지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2024년 국내 경기가 더욱 침체기에 접어들고 세종시 인구마저 정체 상태에 머물자, 상권 활성화를 위한 대안 마련은 어느 때보다 시급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지표로도 확인되고 있다. 올 3분기 중대형 상가와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전국 1위, 집합 상가는 7위로 사실상 최고 수준의 공실 상황에 직면해 있다.
앞서 언급한 예시 지역을 실제로 가보면, 공실은 더욱 심각하다. 유령 상가란 표현이 어울릴 정도의 현장도 셀 수 없이 많다.
3개 기관이 11월 20일부터 21일까지 2024 상가 공실 박람회를 연 이유도 여기서 찾을 수 있다. 4개 집합상가와 7개 창업 부스, 4개 프랜차이즈 부스, 9개 공공기관 홍보부스 등 모두 50개 부스로 미래 희망을 엿봤고, 일부 성과도 거뒀다.
무엇보다 상가 소유주와 실수요자 연결이 6건의 가맹 계약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틀 간 1000여 명이 다녀간 점도 고무적인 부분이다. 박람회 이후로도 10개 팀이 현장을 찾았고, 앞으로 예약 팀도 6개인 것으로 집계됐다. 상가 투자 전문가 강연과 성공 창업사례 발표, 부동산·세무·특허 상담, 상가 홍보(PR), 문화공연 등 다채로운 행사도 곁들여졌다.
관건은 근본적인 대안 마련으로 모아진다.
과도한 업종 규제 완화 및 허용 용도 확대는 여전히 0순위 과제로 꼽혔고, 정체 상태의 인구 유입부터 공실 상가의 임시 활용률 확대, 테마 상가 조성, 경영 컨설팅 강화,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제안도 백기영 유원대 교수를 통해 다시 언급됐다.
부동산 조각 투자로 건물주와 임차인, 소비자가 투자 경험과 수익을 나누는 형태의 지역상권 활성화 방안은 허세영 루센트블록 대표이사에 의해 제안됐다. 지역별 맞춤형 상권 조성과 소상공인을 위한 재정적 지원, 창업자 친화적 제도 도입안도 나왔다.
대한민국 1000대 기업 중 3곳만 세종시에 있는 현실. 수도권 과밀 해소를 넘어 상가 공실의 해법은 더욱 요원해지고 있다.사진=김효숙 의원실 제공. |
그러면서 나성동의 대형 공실 상가를 활용한 세종형 창업지구 조성안을 언급했다.
수도권으로 기업 쏠림(1000대 기업 중 736개 보유) 현상이 심각하고 이를 세종시로 유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지 않은 만큼, 창업 기업 지원·육성 방안을 투트랙으로 제시했다. 조치원 창업키움센터가 포화 상태에 있고 신규 부지와 건축물 마련이 난제인 점을 감안, 대형 공실 상가의 일부를 임차해 창업자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김 의원은 "9800만 원의 예산을 들였으나 '어떻게?'란 물음에 답이 없다"는 말로 상가 공실 박람회의 실효성에 의문부호를 달았다.
더 큰 문제는 다가오는 2025년과 2026년까지 이렇다 할 상가 활성화 기제가 보이지 않는데 있다. 세종시는 2026년 하반기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로 전환적 국면을 창출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나, 더불어민주당을 위시로 한 시의회는 일회성 행사란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다.
결국 '상가 공실'이란 시급한 현안을 놓고, 지역의 민관정이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공동의 의제와 대안을 찾는 노력이 중요해졌다. 각자의 마이웨이를 벗어나 사회적 합의안을 하루 빨리 도출하지 못할 경우, '세종시=행정수도'는 허울 좋은 위상으로 전락할 전망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