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2월 26일 동남아 쓰나미가 있었다. 9.0에 달하는 강진으로 해일이 일어 동남아 12개국이 피해를 입었으며, 그 여파가 아프리카 서부 해안까지 이르렀다고 한다. 인명피해만도 15만 명에 이르는 참사였다.
가만히 서있는 건물 안에 느닷없이 차량이 덮쳐오기도 한다.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곧, 위치나 시간과 무관하게 크고 작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자연과 환경의 돌출변화뿐이 아니다.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사회적 제도 및 기능의 와해, 개인과 집단의 육체와 정신, 정서적 변화가 파탄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 언제고 파국에 이르거나 위험상황이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위기의식이나 위기감 없이 우리는 잘만 산다. 만사를 걱정하며 살 수야 없는 일이다. 그러나 위기에 대한 태도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함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바라보는 시각 및 인식의 깊이가, 예측에서 대비, 결과까지 만들어 내는 가늠자가 된다.
필자가 근무하는 곳에 전시장이 있다. 도심에서 벗어난 외진 곳이어서 찾는 예술가가 별로 없다. 외지다 뿐인가, 전시장이 모여 있지도 않다. 그곳에 가면 항상 전시가 있다는 인식이 있어야 사람 발길이 끊기지 않는다. 이 또한 대단한 약점이다. 작가가 많은 관람객이 찾는 곳을 선호하는 것은 당연하다. 접근성, 선호도가 떨어지면 다른 특징이나 장점, 매력이라도 있어야 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전시유치를 위해 노력하지만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나마 사진전시에 최적화되어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장황하게 설명하긴 어렵지만 시설과 규모가 그렇다는 것이다. 실제로 다른 장르보다 사진 전시가 많다. 주최 측이 초대하는 사람은 어차피 대부분 오게 된다. 육백 여명의 문화가족과 지역주민이 찾는다. 관람객에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사진작가와 소통이 많아진다. 귀동냥으로 작품이 나오기까지의 준비와 생생한 과정을 알게 된다. 정신적인 것이야 어느 장르와 다를 바 없지만 육체적 노고가 훨씬 크다. 어찌 보면 발로 창작하는 예술이다. 자연과 사람, 자신과의 만남이 깊고 조화롭다. 사람은 행복하기 위해 산다. 그 행복의 대부분은 즐거움과 환희에서 온다. 즐거움과 환희는 예술에서 얻는 것이 가장 크다.
작가는 남다른 생각과 자유로운 상상력, 낯선 시각과 관점, 독특한 기법과 기술로 새로운 레토릭을 만들어 낸다. 전시마다 추구하는 방향과 내용, 형상, 기술이 다름을 느낀다. 거기에서 오는 행복을 만끽하기 위해 전시 때마다 수회씩 돌아본다.
간혹 위기를 토로하는 작가가 있다. 인공지능의 대두나 사진 기술의 한계 등으로 예술이 정점에 다다랐다는 인식이다. 그러나 위기는 기회 아닌가? 위기의식, 위기감이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낸다.
사진기는 1839년 만들어 졌다는 것이 공식 기록이다. 상용화되기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당시 화단엔 낭만주의에서 사실주의, 자연주의 등이 진행되던 시점이다. 사실주의의 대표적 화가라 할 쿠르베는 선언한다. "회화예술은 예술가의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대상만 표현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시대를 살고 있는 예술가는 근본적으로 과거와 미래의 모습을 재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별한 것에서 일상적인 것으로 눈길을 돌렸다. 이렇게도 말한다. "나는 천사를 보지 못했다. 그래서 나는 천사를 그리지 않는다." 자연주의 화가 역시 실증주의, 실재, 결정론을 중시했다. 어느 것이고 내면의 세계, 비판의식이 담겨있지만, 실험과 관찰을 중시한 점이 약간 다르다면 다르다.
사실, 진실에 매달리던 그런 시점에 등장한 사진예술이 화가에게는 큰 위기였다. 할 일이 없어진 것과 같은 절망감과 위기감이다. 사진기법이 흉내대상이 되기도 한다. 빛에 대해 탐구하며 순간의 묘사에 열중한다. 그것이 인상파이며, 현대미술의 시발점이 된다. 그로부터 주제 및 소재, 색과 형상, 원근 등 미술의 제반 요소에 대한 치열한 연구가 시작되어 오늘에 이른다.
모든 세상사가 마찬가지다. 어떤 현상에 대해 얼마만한 문제의식을 갖느냐가 관건이다. 위기감의 크기에 따라 미래가 바뀐다. 인류와 국가관계, 사회문제, 개인의 행불행이 결정된다. 방관자가 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다. 위기감을 키워야 변화가 만들어진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