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종 대전시 부시장 |
그중에서도 대전시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양자 산업 패권 확보 움직임에 대해서는 유독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1월 1일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 산업 육성에 관한 법(약칭 '양자기술산업법')'이 시행됨에 따라 대한민국이 글로벌 양자 경제 중심국가로 가기 위한 법과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고, 이에 대한 육성 계획 구축과 막대한 예산 지원이 예정됐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한발 앞서 연초에 카이스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원자력연구원, 나노종합기술원, 한국특허전략개발원 등과 함께 '대전 양자 산업 육성 종합 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미래전략실 산하 양자 센서 팀을 개설해 ▲양자 산업 전주기 클러스터 구축 ▲양자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 ▲양자기술 전문 융합인력 양성 ▲양자기술 국제 공동연구 추진 등 4대 목표를 세웠다.
특히 올해 6월엔 양자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양자 산업 육성을 위한 행정 및 제도적 토대를 마련했다. 이에 더해 연구개발(R&D) 활성화,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산업화 등 4개 분야 14개 세부 과제를 선정해 2028년까지 퀀텀 플랫폼 기능을 수행할 '대덕 양자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을 마련했다.
정확한 국제 정세 파악과 선제적 대응을 통해 양자 컴퓨팅 양자전환 스케일업 밸리 구축사업, 양자팹 구축 사업, 양자대학원 신설 사업 등 수백억 원의 국비를 확보하고 인프라를 확보했다는 점도 눈여겨볼 요소다. 향후 국내 최고 수준의 R&D 역량이 확보되고 인프라가 적절히 구축된다면 대전은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과학도시로 우뚝 설 수 있다.
양자 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대전은 11월 워털루 퀀텀밸리를 구축한 캐나다 워털루시와 MOU를 체결했으며, 미국 심장부인 패어팩스 카운티와의 공동 선언문 발표를 진행했다. 이로써 대전시는 프랑스 콴델라, 파스칼 독일 프라운호퍼 등 양자 산업을 선도하는 유럽과 북미의 국가들과 글로벌 협력 네크워크를 구축하게 됐다.
2035년 2700조 원 규모로 성장이 예측되는 양자컴퓨터 시장과 2030년 136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양자 정보통신 산업 등 연평균 20%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일 양자 산업이 우리의 삶에 영향을 줄 미래가 머지않았다. 특히 양자 센서, 양자 보안, 양자 소프트웨어 시장과 양자 소부장 산업도 역동적인 시장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기존 산업계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양자 컴퓨터와 관련한 시장은 풀스택(Full Stack) 시장을 누가 선점하는지가 핵심이다. 규모, 속도, 정확성을 기반으로 기존에 경험해보지 못했던 서비스들이 튀어나올 것이다. 현재의 보안 시스템도 영향받을 것이며 재료, 생명과학, 물리학, 화학 등 다양한 과학적 분야의 난제들이 풀리기 시작할 것이다.
이 같은 파격적인 산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전시는 단기적으로 지역 R&D를 활성화하고, 양자기술 전문인력 양성, 양자소자 실증센터 등 인프라를 구축해 산업화까지 이어지는 양자 산업 생태계를 만들 것이다. 또한 양자 기업과 대학, 출연연의 융합을 통해 대전을 양자기술 연구개발과 창업, 산업화 지원의 핵심거점으로 육성할 것이다. 반도체 산업 등 기존 시설과 연계 극대화를 위해 양자기술 컨트롤 타워 설립에 대한 장기적 목표도 세워지고 있다.
목표가 목표로 그치지 않도록, 지역산업이 양자 관련 산업으로 잘 전환 될 수 있도록 모두의 노력과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10년 후 아니 5년 후 이 칼럼을 보며 후회하지 않도록, 그리고 완벽한 대비에 안도하며 현실을 즐길 수 있도록 정책적 일관성 유지와 재정 투입의 극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제협력을 통한 공동시장 진출에도 몰두해야 한다. 그렇게 되어야만 한다. 일류 도시를 위하여.
/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