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선수 교감. 사진=시교육청 제공. |
'자전거 페달을 구른다'는 문장은 어떤 의미일까?
첫째, 사람이 바닥을 세게 내리밟는다는 뜻을 갖고 있다. 예문으로는 "아이가 마루를 쿵쿵 구르며 뛰어다녔다"를 들 수 있다. 또 한편으로는 사람이나 사물이 어디를 돌면서 움직인다는 의미가 있다. 예문으로는 "준서가 누가 밀기라도 한 듯 발을 헛디뎌 계단을 굴렀다"를 들 수 있다. 그렇다면 '자전거 페달을 구른다'라는 것은 위의 첫 번째 의미일까, 아니면 두 번째 의미일까.
그 의미를 이해하는 방식에 따라 초심자와 숙련자로 구분할 수 있다. 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에는 자전거 페달을 세게 내리밟는 것에 중점을 두게 된다. 어느 정도 그렇게 페달을 내리밟는 것에 익숙해지고 자전거 전용 신발(클릿슈즈라 부름)을 신게 되면, 페달을 아래로 세게 누르는 것이 아니다. 팔로 페달을 돌리듯이 발로 페달을 돌릴 수가 있게 된다.
아래로 내리누르는 것과 돌리는 것의 차이는 분명하다. 아래로 누르는 행위는 매번 힘을 주어야 바퀴가 돌아가지만, 돌렸을 때는 한 번 돌아가기 시작한 페달은 그 이후에 크게 힘을 주지 않더라도 관성의 법칙과 회전력에 의해 돌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게 페달을 돌릴 수 있게 되면, 하늘을 날 듯이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다.
자전거를 잘 타는 방법은 특별한 방법이 없다. 꾸준하게 열심히 타다 보면 잘 탈 수 있다.
다만 초심자를 위해 두 가지만 추가해 조언하자면, 첫째는 자전거 안장의 높이를 잘 조절하는 것이다. 흔히 안장의 높이가 적절하지 못해 힘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 발을 땅에 딛고 자전거 안장에 앉아 다른 발을 쭉 뻗었을 때 신발 뒷굽이 아래쪽 페달에 닿으면 적절한 높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흔히 페달을 밟을 때 발의 중심을 밟는 게 아니라 발의 앞부분, 즉 발의 넓은 부분이 페달에 닿을 때 힘을 제대로 쓸 수 있다.
우리 연양초등학교는 2024년 11월 2일 토요일 네 번째 자전거 축제를 개최했다. 2023년 3월 교감으로 부임한 이후로 학기별 한 번씩 자전거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아이들이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중독되지 않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심신을 단련하도록 만들기 위해, 아버지를 비롯한 가족 또는 친구들과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서 마련해왔다. 또 어릴 때부터 자전거 타는 습관을 길러 성인이 되어서도 자전거를 애용함으로써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봄에는 학부모회가 주관해 70여 명이 참여하였고, 그것을 보도자료로 홍보하였더니 세종시 문화관광재단에서 세종시 축제의 하나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전거 축제를 개최해 주기를 요청해왔다. 이에 지난해 가을에는 '비단길 따라 두 바퀴'란 축제를 개최했고 600여 명이 참석했다.
올해 봄에는 학부모회가 조직되지 않아서 여러 가지 추진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몇몇 뜻이 있는 교직원의 도움으로 추진하게 됐다. 100여 명의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했는데, 이번 가을 축제에는 200여 명이 참여해 더욱 활성화됐다.
한국수자원공사의 후원을 받아 걸이용 손수건(이것도 종이 수건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환경을 보호하기 위함)을 참석자 전원에게 기념품으로 나눠줬고, 행운권 추첨을 통해 30만 원짜리 고급 자전거를 3대나 제공했다.
이 축제는 올해 여름 동안 우리가 겪었던 극심한 더위를 비롯한 기후 위기를 자전거로 극복해 보자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꿈꾸고 있다. 그러한 장대한 발전과 더불어 이 축제 자체도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