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한만큼 얻고 살아가는 이 세상의 법칙이다.
/글·캘리그라피=손정숙
*손정숙 작가는 대전에서 활동중인 캘리그라피 작가로, '인생이 바뀌는 오늘명언' 밴드를 운영 중이며 '손정숙 글씨공방' 대표이자 '뿌리솔 미술공예협회'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또 회원들과 매년 다양한 공익사업과 재능기부 활동을 하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2004년 1월 '신행정수도특별법 공포 후 10개월 만에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2020년 7월 '행정수도 이전 선언과 특별법 제정 움직임, 이후 6개월 만에 좌초, 수도권 땅 투기 논란으로 흡수', 2025년 6월 '대선 국면의 행정수도 개헌론과 특별법 재심 의제 수면 위 그리고 ???'. '세종시=행정수도' 담론이 이번에도 암초를 만나 좌초되는 역사에 놓일 것인가. 아니면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대의로 자리매김할 것인가. 수도권 초집중·과밀과 국가 불균형, 지방소멸·고령화·저출산이란 국가·시대적 위기 요소를 고려하면, 더는..
충남도 내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인건비 지원사업이 대폭 축소됐다. 충남경제진흥원은 인건비 지원과 같은 직접지원에 형평성 문제가 있다며 인턴 사업 등 간접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제조업 중심으로 산업군이 형성된 충남에서 실효성이 있을지에 대한 우려는 끊이질 않고 있다. 15일 충남경제진흥원(이하 진흥원)에 따르면 인건비를 지원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예산은 2023년 121억 8000만 원에서 2024년 60억으로 감액 편성됐다.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은 도내 청년층의 지역 정착 활성화와 미래 신산업·지역..
실시간 뉴스
2분전
[박현경골프아카데미]치킨윙이 계속 나온다고요? 클럽 끝 방향만 바꿔주면 해결됩니다!15분전
[사설] 대형마트 의무휴업 ‘유통기한’ 다하지 않았나16분전
[사설] '과학축제' 개막, 대전 위상 알릴 호재22분전
씨 없는 포도 ‘델라웨어’ 전국 첫 출하23분전
건강관리협 대전충남지부, 대전 돈보스코의 집 사회공헌 건강검진23분전
대한민국 대표 과학축제 '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하루 앞으로24분전
대전학생교육문화원 냉난방 공사로 5월 7일부턴 넉달간 임시 휴원25분전
해외여행 중 복통 호소 응급환자 도운 국군 장병 눈길25분전
휴대전화 뺏었다고 교사 폭행... 무너진 교권, 대책은 없나25분전
2027년부터 '8월 모평' 보고 수시 원서 접수한다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사람들
기획연재
추천기사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