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향토유산인 성환찰방 역사적 고증 '필요'

  • 전국
  • 천안시

천안시, 향토유산인 성환찰방 역사적 고증 '필요'

- 찰방 아닌 비석이 1995년 향토유산으로 지정돼
- 30년이 넘도록 전문가와 담당부서는 찰방터 추정만 할뿐

  • 승인 2024-11-12 11:15
  • 신문게재 2024-11-13 12면
  • 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KakaoTalk_20241021_171529335
성환읍행정복지센터 내 찰방, 관찰사, 군수의 영세불망비 등 5기의 비석군이 위치하고 있다.
천안시가 향토유산으로 지정한 성환찰방(成歡察訪)에 대한 역사적 고증을 조속히 거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12일 시 등에 따르면 충청·전라·경상을 잇는 삼남대로의 요충지인 성환역(기차역)은 공식적으로 1026년 고려 현종에 만들어진 봉선 홍경사 갈기비에 '직산현 성환역'으로 기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환도(成歡道)는 성환역을 포함한 속역인 신은역, 김제역, 광정역, 일신역, 경천역, 단평역, 유구역, 평천역, 금사역, 장명역, 연춘역 등 12개 역을 관리하던 찰방역(察訪驛)이 있었고, 찰방은 각 도의 역참(驛站)을 관리하던 조선시대 종6품이다.

하지만 시는 성환역(찰방역) 터의 위치를 특정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시는 2020년 3월 향토유적 전수조사를 실시하면서 성환역 누각인 척수루(滌愁樓)와 성환역 찰방 근무 공간인 동헌(東軒) 등이 어디에 있는지 추정만 할 뿐 단정 짓지 못했다.

아울러 1872년 직산현 지도와 1899년 직산현지, 성환역지, 1911년 조선 지지 자료(朝鮮地誌資料), 1914년 조선총독부 관보 등의 기록과 전문가·학자들의 말들도 뒷받침할만한 근거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유력한 부지로 성환읍행정복지센터와 옛 동성중학교 부지 등으로 알려졌지만, 이마저도 확실치 않다는 게 담당 부서의 설명이다.

현재 시는 성환역도찰방을 관할하던 찰방, 관찰사, 군수의 영세불망비 등 비석을 '성환찰방'이라며 향토유산으로 지정했다.

이에 향토유산인 '성환찰방'의 의미를 시민에게 알릴 수 있도록 각종 연구 활동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다.

시 관계자는 "성환역 도찰방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있어 위치 규명을 위해 관계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관련 연구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향토유산이 의미 있게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답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수부, '국고여객선' 현대화 추진...수산 유통펀드사 공모
  2. '청년과 귀어인' 맞춤형 양식장 임대사업자 모집
  3. 해수부, 2024년 정부업무평가 '3개 부문' 우수기관 선정
  4. 국세청, 2025년 신규 세무사 700명 뽑는다
  5. 대전 동구, 과학 체험 '겨울방학 특집 갓생방학 with BIO'
  1. 대전신세계, 설 황금연휴 신학기 행사로 고객맞이
  2. 해수부, 친환경 선박 81척 전환...해운 온실가스 감축
  3. "갤러리아백화점 타임월드로 다양한 상품행사 만나러 가볼까"
  4.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 정착과 자립을"
  5. 세종경찰, 설 명절 특별치안 대책 주효

헤드라인 뉴스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기획] 2. 행복도시 시발점 '1~2생활권'… 미완의 과제는

세종시 행복도시는 2025년 또 어떤 밑그림을 그리며 2030년 완성기로 나아갈까. 큰 틀의 도화지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건설에 있고, 그 안에 내용과 색채를 넣는 시간으로 승화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2027년 대통령 집무실과 2031년 국회 세종의사당부터 수도 지위에 걸맞은 위상을 갖춰 들어서야 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도시 기능과 요소들이 적기에 지연 없이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 그렇지 않고선 2004년 행정수도 위헌 판결 이후 20여 년의 세월이 무위로 돌아갈 수 있다.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를 가리키는 시계추..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대전 지난해 오피스 임대료 오르고, 상가 임대료 하락

지난해 대전 오피스 시장은 임대료가 오르고, 상가는 임대료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과 충북은 오피스 시장과 상가가 모두 하락했으며, 세종은 전국에서 집합상가 하락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오피스 임대가격지수는 전년 대비 3.22% 상승했다. 임대가격지수는 시장 임대료 변동을 나타내는 수치다. 세부적으로 보면, 서울은 4.78% 오르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고, 경기(2.60%), 대구(0.53%), 대전(0...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지난해 충청권 의치한약대 정시 등록포기 526명… 올해는 더 늘 듯

2024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충청권 메디컬학과(의대, 치대, 한의대, 약대) 합격자 중 526명(163.9%)이 최종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집정원이 늘어난 2025학년도엔 중복합격자 증가와 등록 포기로 인한 추가합격 인원이 더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종로학원 분석에 따르면 2024학년도 정시 전국 의·치·한·약대 합격자 중 최종 등록포기는 3367명으로 모집정원 대비 136.4%를 나타냈다. 사실상 최초합격자 전원이 타 대학 중복합격으로 이탈했고, 추가합격자 중에서도 중복합격으로 인한 연쇄적 이탈이 발생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추위 실감케 하는 고드름

  •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고향의 정 새기며…‘다시 일상으로’

  •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잊혀져가는 공중전화의 추억

  •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 명절 연휴 고속도로의 유용한 정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