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균 소장 |
그리고 시간이 흐른 오늘날 중국의 서원들은 확연히 달라졌다. 건축물이 남아 있는 유형의 서원들 상당수가 본래의 기능을 찾아 활동하고 있고, 이름만 남은 서원들도 일반 호텔이나 공공장소를 빌려서 경전 강독과 전통사상을 강의한다. 서원의 이름으로 학생과 일반인 대상 전통교육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물론 거기에는 중국 최고지도자의 전통문화와 사상을 강조하는 발언이 기폭제가 됐다.
얼마 전 중국 조선족의 음식 돌솥비빔밥이 중국 국가무형문화로 등재됐다. 이를 두고 일부에서 문제 있다고 발언하며 논란이 일었고, 중국이 한국의 돌솥비빔밥을 뺏어갔다는 성토분위기가 있었다.
불현듯 중국의 서원을 한국이 빼앗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고 불만했던 중국인들의 성토 분위기가 떠올랐다. 엄밀히 말해서 문화는 원래의 뿌리가 있어도 그것이 주변으로 퍼지면서 달라지기도 한다. 원래의 특징을 간직한 것도 있고 변형된 것도 있다. 유교문화의 핵심 공간 서원이 그렇듯 돌솥비빔밥도 마찬가지다.
그것은 우리 거니까 너희들이 이용하면 안 된다는 생각은 매우 편협한 문화패권주의다. 현재 중국에는 조선족이 창업한 돌솥비빔밥 전문점이 전국적으로 성업하고 있다. 중국 전역에 수많은 분점을 내고 영업을 시작하자,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먹는다.
꿩 잡는 게 매라고, 조선족은 자신들의 전통먹거리 돌솥비빔밥을 최고의 음식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용기 있게 국가무형문화로 올렸다. 주지하듯 조선족 문화는 한국에 뿌리를 두었던 사람들이 중국에 거주하며 이룩한 문화다. 문화의 뿌리가 한국과 기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55개 소수민족가운데 조선족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렇게 큰 것은 아니지만 자신들의 음식문화를 중국 전역으로 확산시켰다. 그리고 그것을 국가문화로 등재시킨 것은 비빔밥의 국제화 차원에서 오히려 칭찬받을 일이다.
혹간 그러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시킬 것이란 성급한 판단도 하지만 유네스코 무형문화 등재는 다양한 변수가 있고, 각 나라마다 년 한건밖에 올릴 수 없다는 한계가 있어 매우 요원한 문제다. 이를 예단하며 비판하는 것은 너무나도 성급하다.
이참에 돌솥비빔밥을 K-한류 열풍에 힘입어 세계화하는 것은 어떨까? 일부 지자체에서 하는 먹거리 축제에 전 세계 각지의 돌솥비빔밥을 함께 소개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중국 조선족, 미주 한인들, 재일동포, 중앙아시아 고려인들, 사할린동포들의 돌솥비빔밥을 함께 체험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보자는 제안이다. 그리고 차이와 공통점을 찾아 정리해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가치가 있다면 그때 힘을 모아 함께 올린다면 더 큰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모두가 좋아하는 돌솥비빔밥이고 비빔밥 자체가 다양한 음식의 조합이자 조화라면 돌솥비빔밥으로 국제간의 화해와 조화를 상징적으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화해와 조화의 상징 돌솥비빔밥으로 문화패권주의란 오해를 받기보다는 오히려 문화포용주의를 추구함이 더 좋을 것이란 판단이다.
/김덕균 중국산동사범대학 한국학연구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