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현 산군(山君) 법률사무소 변호사 |
그러나 이렇게 복잡다단한 세상, 그리고 인간을 이분법으로 나누어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분법으로 세상과 인간을 나누어 이해하려는 방법론을 취하는 순간 그 자체로 진리에서 멀어질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신(神)이 아닌 이상 이분법적 방법론을 버릴 수는 없다. 이분법을 벗어난 모든 예외의 가능성을 상정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은 이분법적 방법론이 진리가 아님을 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리를 위해 이분법적 방법론을 취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정의론'으로 유명한 존 롤스(John Rawls)는 "사회의 모든 가치(자유, 기회, 소득, 부, 인간의 존엄성 등)는 원칙적으로 평등하게 배분되어야 하며, 불평등한 가치의 배분은 사회의 최소 수혜자에게 유리한 경우에만 정의롭다."라고 말했다. 즉, 사회의 모든 구성원은 다른 사람의 자유와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자유를 평등하게 누려야 하지만, 이렇게 평등하게 자유를 누리도록 할 경우 발생하는 불평등은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롤스가 이러한 정의 원칙을 도출함에 '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을 상정한다. 롤스는 원초적 상태에서 인간은 저마다 이기적이고 합리적으로 행동하면서도 공동의 이익을 위해 서로 협력하고 합의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러한 원초적 상태에서 사회의 구성원들은 다른 사람의 사회적 지위와 능력의 차이 등을 전혀 알지 못할 때 공정한 합의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며, 공정한 합의를 위해 서로를 알지 못하게 아는 '베일'을 드리우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무지의 베일'을 드리우는 것을 상정하면 앞서 말한 정의의 원칙이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롤스가 말하는 정의 원칙은 '무지의 베일'이라는 가상의 산물로 어쩌면 현실과는 다를 것이다. 그럼에도 롤스의 정의론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이는 앞서 인간이 모든 예외의 가능성을 상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에 이분법적 방법론을 버릴 수 없듯이, 모든 현실의 예외를 상정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없기에 어쩔 수 없는 것인지도 모른다. 따라서 롤스의 정의론은 그 자체로 진리일 수는 없겠지만, 한계가 있는 인간이 취할 수 있는 어쩔 수 없는 결론이 아닌가 싶다.
이분법적 사고방식으로 우리는 결코 진리에 도달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결코 이분법적 방법으로 진리에 도달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복잡한 세상을 단순한 이분법적 방법이라도 취해서 나누어 놓지 않으면 도저히 생각을 발전시킬 방법이 없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이분법적 방법을 취하였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힐난받을 이유는 없을 것이다.
다만 이분법적 방법론을 취한 것을 넘어 이분법적 방법론에 마치 진리인 양 도취되었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 어디까지 진보이고, 어디까지 보수인지 명확한 구분이 가능할까? 진보냐, 보수냐라는 이분법적 방법론을 취하되 이는 논의의 편의를 위한 방법론에 불과할 뿐 진리와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승현 산군(山君) 법률사무소 변호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