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교육청의 2025년 예산안이 현안 해결에 어떻게 쓰일지 주목된다. 사진=시교육청 제공. |
재정난 아래 경직성 경비를 제외한 '순수 교육사업비'는 2554억 원(21.6%)으로, 이 안에서 ▲교권 회복 및 학교교육 정상화 ▲유보 통합 ▲늘봄 프로그램(옛 방과후학교) 정착 ▲지역 인재 유출 ▲학생 1인당 사교육비 및 학원수 전국 최고 수준 등의 현안부터 교육발전특구 지정에 따른 10대 핵심 과제에 대응해야 한다.
박영신 교육정책국장과 이미자 학교지원본부장은 11월 7일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대응 예산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답했다.
교권 보호 내실화는 학교지원본부를 중심으로 뒷받침한다.
이미자 본부장은 "지역교권보호위원회에 9억 8000만 원 편성안이 핵심이다. 여기서 민원 대응 학교 상담실을 2025년 25개 학교까지 추가로 설치하는 한편, 별도 공간이 없는 학교에는 다른 실과 공동 사용에 따른 교구와 재원 지원을 하기로 했다"라며 "또 사건 이전에 예방이 가능한 찾아가는 교육, 변호사 및 힐링 프로그램 지원 등도 한다"고 설명했다.
박영신 교육정책국장이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 나서고 있다. 사진=시교육청 제공. |
최근 중학생들의 타 지역 유출에 대한 세종시의회의 지적에 대해서도 답했다. 특수 목적고교 등으로 유출이 많은 건 사실이나 순유입(전입-전출)은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는 지표를 제시했다.
중 1~3년생의 경우, 2022년 전입 522명(집현중 개교 효과)과 전출 290명, 2023년 전입 366명, 전출 317명, 2024년 3~8월 255명, 209명으로 전입이 많았고, 고교 진학을 앞둔 중 3학생들도 2022년 순유입 68명, 2024년 3~8월 순유입 46명으로 나타났고, 2023년에만 순유출 3명인 것으로 파악했다. 다만 우수 학생들의 타 지역 고교 진출 등의 일부 지적은 인정했다.
7월 교육발전특구 2차 지정에 이어 10월 집현동 공동캠퍼스 개교, 11월 6일 기회발전특구 지정, 2025년 외국 대학·기업 등의 유치에 물꼬를 트는 경제자유구역 선정(미정) 등 교육 환경에 변화를 가져올 만한 흐름들에 대한 대응안도 마련 중이다.
당장 교육발전특구는 세종시와 함께 '세계로 나아가는 미래 교육도시'란 캐치프레이즈 아래 모두를 위한 교육과 돌봄 연계형 늘봄 체계 구축, 미래 교육을 선도하는 공교육 체계 혁신, 지·산·학·연 연계 정주형 지역혁신 인재 양성 등 모두 3개 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할 10대 핵심과제는 ▲마을교육지원센터 연계 민·관·학 늘봄 지원 체제 구축 및 맞춤형 늘봄 프로그램 운영(옛 방과 후 학교) ▲유아교육원 설립 및 놀이와 배움 중심 유보이음교육 등 온(on-溫) 세종 유보통합 추진(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 ▲유·초·중 연계 이음교육과정 확대 및 자연친화적 숲 유치원 등 생태교육과정 운영 ▲특화 및 대학 연계 교육과정 운영 등 자율형 공립고 2.0(산울형 캠퍼스 고교) 설립 추진 ▲훈민(인문 중점), 정음(예술체육), 창제(수학·과학) 특화 교육과정 통한 고교학점제 강화 ▲거점형 공동교육센터 운영 및 온라인 학교를 통한 읍면지역 교육 여건 개선을 포함한다.
이에 더해 △온라인 평생교육 플랫폼 운영 및 온라인 강좌와 자격증 강좌 연계 △산업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및 인턴십 연계 지역인재 채용 확대 등 협약형 특성화고(미래고) 추진 △원 캠퍼스 기반 마련 및 통학여건 확대 지원, 행복기숙사 등 정주인프라 구축 △스타트업 캠퍼스 통한 지역혁신 생태계 조성 및 산업체 연계 실무교육 강화 △세종학·한글문화 교육 지원 등 유학생 교육 및 미래전략산업 분야 국제 프로그램 운영도 추진한다.
시교육청은 세종시와 교육특구 사업 추진단을 결성, 이를 중심축으로 다양한 성과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세종시 중학생 전입 및 전출 현황. 사진=시교육청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