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짙어질 보호무역 기조가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과소평가할 수는 없다. 제조 산업 정책을 전면 재검토할 정도로 파장이 내다보이는 부문도 있다. 이차전지와 반도체는 미국 대선 결과에 제일 많이 좌우된다. 자동차, 철강과 그 연관산업도 작용과 반작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역 주력산업은 대외변동성에 취약하다. 트럼프식 보편관세의 뻔한 결과는 채산성 악화다. 원자재 등 물가 불안 변수 역시 크다. 고용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도 주요 과제가 됐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많은 대전은 특히 과학기술계가 영향권 안이라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미국에서 연구개발(R&D) 투자가 줄고 혁신은 지체된다는 전망이 7일 나왔다. 실제 그렇더라도 기업 혁신과 고부가가치화가 우리로선 어느 때보다 소중한 만큼 R&D 투자에 인색해선 안 된다. 전통적인 제조업으로 기울어진 트럼프 당선인의 의지도 지역 기업엔 득이 되지 않는다. 수출 감소에 유의하면서 공급망 위기 대응에도 미리 준비가 필요하다.
지역 내에서 상대적 수출 배수(수출 비중/GRDP 비중)가 높은 곳은 물론, 기회발전특구와 관련해 부여에 투자할 이차전지 산업지구 등에도 악영향이 없어야 한다.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 관세 확대는 지역 자동차 부품 산업에 일부 호재일지 모를 측면은 섞여 있으나 완성차 수출엔 짐이 된다. 기업들도 위기관리와 함께 새 기회를 찾기 바란다. 국회 발의된 무역기술장벽 대응에 관한 법률안은 처리가 불가피하다. 지역경제의 주축이 흔들리지 않도록 업종·품목별로 맞춤형 전략을 마련할 때다. 환율뿐 아니라 달라질 전 세계 통상과 수출 여건 전반에 지자체 차원에서도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