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월평공원 금 광산 광복 전 폐광, 폐석만 남아" 증언

"일제 월평공원 금 광산 광복 전 폐광, 폐석만 남아" 증언

광복 전에는 어른들이 광산 얼씬 못하게 단도리
처음 본 동굴광산에 폐석 잔뜩 작업장은 안 보여
"금광 있대서 누가 부자됐다는 말은 못 들었다"

  • 승인 2024-11-06 17:27
  • 수정 2024-11-06 17:31
  • 신문게재 2024-11-07 3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IMG_0964
대전 도솔산 월평공원에 바위가 일제강점기 금 재취 위해 절단되어 직각의 벽처럼 노출되어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대전 도솔산 월평공원의 금 광산이 광복 전에 이미 폐광되었고, 광복 후 현장에 작업장 하나 보이지 않고 폐석만 남아 있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6일 일제강점기 금 수탈 현장이었던 월평공원의 수직갱도와 동굴형 갱도에 대한 주민 설문 과정에서 광복 직후에 금광을 목격한 원로를 만날 수 있었다. 서구 정림동 명암마을에 거주하는 박남원(88) 옹은 중도일보와 만나 광복 전에는 채굴이 이뤄지는 쪽으로 얼씬하지 말라는 어른들의 당부가 있었고, 광복 후 갔을 때는 폐석이 동굴 입구에 쌓여 있을 뿐 다른 시설물은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박 옹은 "9살에 광복을 맞았는데 그때까지 어른들이 굴이 있는 광산 쪽으로 얼씬 못하게 해서 가본 적은 없었다"라며 "광복 직후 초등학교에 입학해 소풍으로 도솔산을 가게 되었는데 그때 동굴의 금광을 보았고 아무런 시설물 없이 잔돌들이 입구에 잔뜩 쌓여 있었다"라고 회상했다. 그는 1937년 정림동 명암마을에서 출생해, 지금의 호수공원 부지와 하천 부지로 바뀐 억새밭 자리에서 벼농사를 짓는 등 줄곧 고향을 지켜왔다.

박 옹은 월평공원의 금광이 문을 닫은 때는 일제가 패망하기 전이었다고 기억했다. 그리고 당시 굴을 파고 돌을 운반하는 일에 동원됐을 근로자들의 모습은 기억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월평공원에 금광을 운영한 조선제련(주)이 1936년 준공한 장항제련소가 한때 조선총독부의 금 생산 독려에 힘입어 대전을 포함해 전국 10여 개 금 광산에서 광석을 가져다 금을 녹였으나, 산금정책이 백지화한 1943년부터 전국 금산이 폐광한 사실과 박 옹의 증언이 부합한다. 다만, 캐어낸 돌을 분쇄하는 작업장까지 이곳에서 운영했던 것은 아닌 것 같다고 기억하면서 채굴한 돌을 어떻게 운반했을지는 짐작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마을 앞에서 채굴 현장까지 이어져 월평동까지 관통하는 지금의 산책길은 광복 이후에 개설되었다는 게 그의 기억이다.



박 옹은 "동굴을 파서 금을 캐는 일은 이 주변 사람들이 동원되었을 테지만 자세하게 전해지는 이야기는 없었다"라며 "마찬가지로 금 광산이 있다고 해서 누가 부자가 되었다는 사람도 없었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29일 대전 유성구 일대 정전…엘리베이터 갇힘 등 신고 24건
  3.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4. 중진공 충남청창사 15기 입교 오리엔테이션 개최
  5. 천안시, 석오 이동녕 선생 미공개 친필자료 담은 전자책 발간
  1. 천안문화재단, 천안예술의전당 전시실 대관 공모 신청 접수
  2. 천안고용노동청, 청년 취업지원 활성화를 위해 10개 대학과 업무협약
  3. 천안시도서관본부, '제61회 도서관 주간' 맞아 다채로운 행사 풍성
  4.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5.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헤드라인 뉴스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2023년 대형산불 발생에 대전과 충남 홍성에서 2년째 복구작업 중으로 이들 지역 산림 복구비용만 총 108억 원가량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많은 복구비뿐 아니라 불에 탄 산림과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만 20년 이상이 걸리지만, 최근 10년간 충청권에서 발생한 산불 원인은 입산자의 부주의로 인한 '실화'가 가장 많았다. 30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2023년 4월 대전 서구 산직동 산불로 당시 축구장 약 800개 면적과 맞먹는 646㏊의 숲이 불에 탔다. 나무를 심어 숲을 복원하는 조림 등 인공복구가 필요한 37㏊에 대해 대전시와..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제4인터넷은행 탄생하나 대전 시선 집중

대전에 본사를 두기로 대전시와 협약을 맺은 한국소호은행(KSB)이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하면서 '대전에 본사를 둔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위원회는 지난 25~26일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한 4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심사에 착수한다.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심사를 비롯해 금융감독원의 심사를 거쳐 오는 6월 중 인터넷은행의 예비인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전에 뛰어든 곳은 '한국소호은행'을 비롯해 '소소뱅크', '포도뱅크', 'AM..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4월 1일부터 우유와 맥주, 라면, 버거 등의 가격이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이미 커피와 과자, 아이스크림 등이 오른 상태에서 다수 품목이 연이어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3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라면 등의 가격이 줄인상 된다. 우선 편의점에서는 4월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오른다. 가정용 시장의 40% 이상을 차지한 오비맥주 카스는 병과 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

  •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시와 음악을 동시에 즐긴다…‘명시명곡 속 대전’ 개최

  •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 한화이글스 홈 개막전…대전 한화생명볼파크 첫 매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