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선정된 기회발전특구 2개 지구 지정 현황.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와 국제업무지구는 특구에 포함되지 못했다. 사진=세종시 제공. |
정부가 11월 6일 강원도 춘천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서 이 결과를 발표했고, 세종시에선 연서면 스마트 국가산업단지와 전동면 일반산업단지, 집현동 도시첨단산업단지(테크밸리) 등 모두 3곳이 기회발전특구에 최종 포함됐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 이전 또는 창업 및 신·증설 기업에 대한 세제 감면과 규제 특례 등을 동시에 지원하는 제도로, 후속 지정 의미는 지방에 대규모 투자를 촉진하는 촉매제 기능을 한다는 데 있다. 이는 현 정부의 지방시대 핵심 정책이기도 하다.
지정면적은 186만 360㎡(56만 평), 총 투자 규모는 1조 153억 원에 달한다. 앞선 4월 대전과 전남·북, 경남·북, 대구, 부산, 제주 등 모두 8개 지역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으나, 2023년 경제부시장을 중심으로 한 특구 전담 조직을 통해 대응해온 과정이 이 같은 결실로 이어졌다. 이번에는 수도권 3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6개 지역이 모두 포함됐다.
지난 4월 기회발전특구와 교육발전특구 1차 지역 현황. 당시 세종시는 어느 쪽에도 포함되지 못하다 7월 교육발전특구에 이어 11월 기회특구 2차에 이름을 올렸다. 사진=지방시대위 제공. |
첨단소재·부품 사업화지구로 선정된 스마트 국가산업단지과 전동 일반산업단지에는 미래 모빌리티와 바이오 업종 유치에 초점을 맞춘다. 제조·사업화 거점으로 연계 효과는 인근 충남(모빌리티)과 충북(바이오), 대전(R&D)에서 찾는다. 이미 특구 지정에 앞서 ▲첨단소재·부품 사업화지구 : ㈜켐트로닉스·신신제약㈜·한국유나이티드제약㈜ 등 모두 5개 사 ▲기술혁신지구 : ㈜한국정보기술단·엘리스그룹·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모두 5개 사가 각각 둥지를 틀었다.
시는 이 같은 10개 사로부터 7097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2025년부터 기회발전특구를 활용해 적극적인 기업유치 활동을 강화한다. 향후 협약 기업 투자를 넘어 신규 지방 이전 투자가 촉진되고, 청년이 선호하는 양질의 고급 일자리가 늘어나는 등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이제 시는 지난 7월 시범 지정된 교육발전 특구 사업을 연계하는 한편, 2025년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란 3대 자족성 요소 확보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지역에서 자란 인재가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일하고 성장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며, 도시 발전을 기약하게 된다.
기회특구는 교육발전특구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연계해 시와 초·중·고·대학, 기업 간 맞춤형 인재 양성 및 정주여건 조성 등 지역중심의 발전체계 구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 기업·대학 유치를 타깃으로 한 규제완화 지구로, 세종시는 국가산업단지와 5-1생활권 스마트시티, 집현동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목표로 세워두고 대응하고 있다.
한편, 기회특구 지정 면적은 목표로 한 124만 평의 약 1/2 수준에 그쳤다. 기회특구는 지역별 최대 150만평까지 확대할 수 있다. 합강동(5-1생활권) 스마트시티 실증지구와 나성동(2-4생활권) 국제 업무지구가 빠진 점은 숙제로 남겨졌다. 여기에 모빌리티와 바이오헬스, 디지털트윈 분야 산업 유치 전략도 다음 기회를 엿봐야 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와 국제업무지구, 조치원 세종테크노파크(TP)가 이번 특구에 포함되지 않은 점은 숙제로 남겨졌다. 사진=세종시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