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에 선정된 기회발전특구 2개 지구 지정 현황.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와 국제업무지구는 특구에 포함되지 못했다. 사진=세종시 제공. |
정부가 11월 6일 강원도 춘천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에서 이 결과를 발표했고, 세종시에선 연서면 스마트 국가산업단지와 전동면 일반산업단지, 집현동 도시첨단산업단지(테크밸리) 등 모두 3곳이 기회발전특구에 최종 포함됐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 이전 또는 창업 및 신·증설 기업에 대한 세제 감면과 규제 특례 등을 동시에 지원하는 제도로, 후속 지정 의미는 지방에 대규모 투자를 촉진하는 촉매제 기능을 한다는 데 있다. 이는 현 정부의 지방시대 핵심 정책이기도 하다.
지정면적은 186만 360㎡(56만 평), 총 투자 규모는 1조 153억 원에 달한다. 앞선 4월 대전과 전남·북, 경남·북, 대구, 부산, 제주 등 모두 8개 지역에 밀려 빛을 보지 못했으나, 2023년 경제부시장을 중심으로 한 특구 전담 조직을 통해 대응해온 과정이 이 같은 결실로 이어졌다. 이번에는 수도권 3개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6개 지역이 모두 포함됐다.
![]() |
지난 4월 기회발전특구와 교육발전특구 1차 지역 현황. 당시 세종시는 어느 쪽에도 포함되지 못하다 7월 교육발전특구에 이어 11월 기회특구 2차에 이름을 올렸다. 사진=지방시대위 제공. |
첨단소재·부품 사업화지구로 선정된 스마트 국가산업단지과 전동 일반산업단지에는 미래 모빌리티와 바이오 업종 유치에 초점을 맞춘다. 제조·사업화 거점으로 연계 효과는 인근 충남(모빌리티)과 충북(바이오), 대전(R&D)에서 찾는다. 이미 특구 지정에 앞서 ▲첨단소재·부품 사업화지구 : ㈜켐트로닉스·신신제약㈜·한국유나이티드제약㈜ 등 모두 5개 사 ▲기술혁신지구 : ㈜한국정보기술단·엘리스그룹·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모두 5개 사가 각각 둥지를 틀었다.
시는 이 같은 10개 사로부터 7097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2025년부터 기회발전특구를 활용해 적극적인 기업유치 활동을 강화한다. 향후 협약 기업 투자를 넘어 신규 지방 이전 투자가 촉진되고, 청년이 선호하는 양질의 고급 일자리가 늘어나는 등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란 기대를 모은다.
이제 시는 지난 7월 시범 지정된 교육발전 특구 사업을 연계하는 한편, 2025년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란 3대 자족성 요소 확보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지역에서 자란 인재가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일하고 성장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며, 도시 발전을 기약하게 된다.
기회특구는 교육발전특구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을 연계해 시와 초·중·고·대학, 기업 간 맞춤형 인재 양성 및 정주여건 조성 등 지역중심의 발전체계 구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경제자유구역은 외국 기업·대학 유치를 타깃으로 한 규제완화 지구로, 세종시는 국가산업단지와 5-1생활권 스마트시티, 집현동 도시첨단산업단지 지정을 목표로 세워두고 대응하고 있다.
한편, 기회특구 지정 면적은 목표로 한 124만 평의 약 1/2 수준에 그쳤다. 기회특구는 지역별 최대 150만평까지 확대할 수 있다. 합강동(5-1생활권) 스마트시티 실증지구와 나성동(2-4생활권) 국제 업무지구가 빠진 점은 숙제로 남겨졌다. 여기에 모빌리티와 바이오헬스, 디지털트윈 분야 산업 유치 전략도 다음 기회를 엿봐야 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와 국제업무지구, 조치원 세종테크노파크(TP)가 이번 특구에 포함되지 않은 점은 숙제로 남겨졌다. 사진=세종시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