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수자원 고갈에 따른 대대적인 절수설비 설치 '절실' (下)

  • 전국
  • 천안시

천안, 수자원 고갈에 따른 대대적인 절수설비 설치 '절실' (下)

- 표본조사 728개소 중 40개소만 적합하다는 결과
- 절수설비(기기) 1만 4078개 교체 시 절수율 36.6%
- 수돗물 절약 실천위해 홍보와 지원 아끼지 않아야

  • 승인 2024-11-04 11:16
  • 신문게재 2024-11-05 12면
  • 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천안시맑은물사업본부가 최근 '천안시민 다함께 얼쑤절쑤'라는 슬로건으로 물 절약 실천 캠페인을 적극 펼치고 있다.

진행 중인 캠페인은 6년간 동결한 상수도 요금을 단계적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수자원 고갈을 예방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하지만 정작 법적·실질적으로 수돗물 사용을 줄여주는 절수기기 설치의 홍보는 미비할 따름이다.

중도일보는 시민에게 경각심을 심어주고, 천안시가 물 절약에 따른 '탄소중립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현 상황과 후조치 사항에 대해 2회에 걸쳐 취재했다. <편집자 주>





上. 천안, 수도법 위반 대상자에 20년간 과태료 부과 전무

下. 천안, 절수설비 및 절수기기 실태조사 결과 적합 판정은 '5.5%'



천안시가 절수설비(기기) 설치 의무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용역 결과 적합하다고 판정된 비율은 5.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시에 따르면 5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숙박업 123개소, 목욕장업 16개소, 체육시설업 209개소, 공중화장실 380개소 등 총 728개소에 대해 절수설비 설치유무, 미설치분 토수량(수도꼭지나 샤워기 따위에서 쏟아져 나오는 물의 양), 미설치분 수량 및 교체비용, 교체 시 절수량과 절수율 추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절수설비(기기)가 적합 대상자는 728개소 중 40개소(5.5%), 부적합 512개소(70.3%), 휴·폐업과 시설 없음 등 기타 176개소(24.2%)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숙박업에서는 절수설비(기기)가 8805개 설치돼야 하지만 7574개가 미설치 상태며, 목욕장업 708개 중 360개, 체육시설업 873개 중 539개, 공중화장실 1만 904개소 중 5605개가 미설치로 남아있다고 드러났다.

미설치분의 교체비용은 숙박업이 1억5846만여원, 목욕장업 673만원, 체육시설업 1176만원, 공중화장실 1억 3031만여원으로 합계 3억727여만원이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미설치분이 교체될 경우 숙박업 2만7941ℓ, 목욕장업 1427ℓ, 체육시설업 1578ℓ, 공중화장실 1만 6374ℓ가 각 1회 사용 시마다 절수(예상 절수율 36.6%)될 것으로 추계 되는 상황이다.

이에 시가 표본으로 조사한 절수설비(기기) 설치 의무시설을 포함해 관내 모든 시설이 '수돗물 절약'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다.

시는 절수설비 등의 설치 이행을 명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절약전문업자 이용을 권장 가능하고, 기타 행정적 지원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필수로 절수설비(기기)를 설치해야 하는 대상자들에게 공문을 보낸 상태"라며 "앞으로 꾸준한 점검을 통해 절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박수현 "세종 행정수도 서울 경제수도…李 의지확고"
  2. [박현경골프아카데미]백스윙 어깨 골반 회전! 당기서, 누르고, 돌려주세요
  3. 충남산림자원연구소 매각부지 활용안 찾는다
  4. 2025 자전거 타고 '행복도시 명소' 투어....4월 26일 열린다
  5. 천안검찰, 2만5000원에 롤 계정판매 사기 혐의 '벌금 50만원' 구형
  1. 천안검찰, 마약류 매매 혐의 체류기간 만료 태국인에 '징역 3년' 구형
  2. 천안시의회 조은석 의원, '천안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조례 개정안' 상임위 통과
  3. 대전교통공사, 장애인의날 교통약자이동지원차량 무료운행
  4. 세종충남대병원 서정호 교수, 학대예방경찰관 대상 교육 실시
  5. 세종 아파트값 1년 5개월만에 상승 전환…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 향후 상승 관측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이재명 "일단 용산 다음은 靑…" 발언에 충청반응 싸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집권 시 일단 용산 대통령실을 집무실로 쓸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음 단계로는 청와대를 신속히 보수해 들어가고 최종적으로는 개헌을 전제로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뜻을 덧붙였다. 6·3 조기대선 정국에서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가 뜨거운 화두로 오른 가운데 그가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으로 주목된다. 이 후보는 18일 오후 MBC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나와 '만일 당선되면 대선 직후 대통령 집무를 어디로 시작할 것이냐'는 김경수 경선 후..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문턱 더 낮아진 재개발·재건축…대전 노후아파트 재건축 활로 기대

국토교통부가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기존보다 쉽게 추진할 수 있도록 각종 규정을 조정한다.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요건에 무허가 건축물을 포함하고, 재건축진단(옛 안전진단)은 세부평가 항목을 늘려 노후 아파트의 재건축 문턱을 낮추는 게 골자다. 대전에서도 노후아파트 재건축 추진 움직임이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만큼, 관련 절차 진행에도 활로가 뚫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토부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시행령' 하위법령 개정안을 18일부터 다음 달 28일까지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발표했다.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재건축진단 기준' 하..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 "전국유일 결혼·출산 지표반등…청년이 살고싶은 도시"

대전시가 저출산과 지방소멸 등 국가적 위기 속 전국에서 유일하게 결혼과 출산 지표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의 기업유치 및 다양한 청년 우선 정책이 빛을 발한 것으로풀이된다. 대전시에 따르면 과거의 대전은 교통과 주거 등 인프라 측면에서 살기 좋은 도시라는 이미지가 짙었다. 그러나 지금 대전은 행정당국의 '기업 유치-대전 정착-결혼-육아-노인 복지'로 선순환 정책이 자리를 잡으면서 청년 세대에게 '살고 싶은 도시'라는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도시로 성장했다. 대전 청년 정책의 효과는 통계 지표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통계청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책 읽기 좋은 날 책 읽기 좋은 날

  •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가방은 내가 지켜줄께’

  •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느려도 괜찮아’, 어린이 거북이 마라톤대회

  • 감염병 예방 위한 집중 방역 감염병 예방 위한 집중 방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