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기본이 되어있어야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기본이 되어있어야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11-0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문묘는 공자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준 말이다. 문선왕은 공자를 이른다. 당 현종이 공자를 문선왕으로 추증하였기 때문이요, 따라서 공자묘라고도 한다. 공자를 정위로 하여 4성, 공문10철(孔門十哲) 및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나라의 명현 18현(十八賢)을 종사(從祀)해 태학생(太學生)들의 사표(師表)로 삼았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의하면 1949년 전국유림대회 결의로 동무와 서무에 종사한 중국 명현의 위판(位板)을 매안(埋安)하고, 우리나라의 명현 18위를 대성전으로 승당(陞堂)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문묘에 종사된 18현을 '동방18현' 또는 '동국18현' 이라고도 부른다. 유명세나 높은 벼슬, 권력에 의해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독창적 학문세계, 양심과 도덕에 따른 실천이 주이다. 뛰어난 학식과 덕망, 학자로서 위상, 업적이 높아야 선정된다고 한다. 유학자로서 최고의 영예가 아닐 수 없으며, 만인의 칭송을 받는다.

동무 3번째에 종사되어 있는 인물이 김굉필(金宏弼, 1454~1504, 문신학자)이다. 김종직의 제자이며, 조광조에게 학문을 전수하여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맥을 있게 했다. 별도로 언급하는 것은 오늘의 주제를 위해서다.

어려서는 꽤 폭력적이었던 모양이다. 사람들이 그를 만나면 피했다고 한다. 좋게 말하면 성품이 호방하고 거칠었던 것이다. 늦게 분발하여 학문에 힘썼다. 김종직 문하에 들어가 <소학>을 배웠는바, 그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일컬었다.



소학은 8세 안팎의 어린이 유교 입문서로 수신서(修身書)이다. 기초학습은 물론, 수신과 수양, 관계 및 생활규범, 생활철학이 주로 담겨있다. 거칠었던 자신의 성품을 <소학>으로 반추해보니 잘 못이 충격적으로 다가와 크게 깨닫게 되고, 깊은 감동으로 다가왔던 모양이다. 사람노릇을 제대로 해야겠다고 다짐한다. 깊고 성실하게 <소학>을 따라 처신한다. 나이 삼십에 이르러서야 다른 책을 접하고 경서를 섭렵하였다.

그럼에도 문묘에 종사 되었던 것은 경학에 치중하여 '치인(治人)'보다는 '수기(修己)'에 힘쓴 까닭이다. <소학>에 입각한 처신(處身),복상(服喪)·솔가(率家) 자세는 당시 사대부들의 귀감이 되었으며, '한훤당(김굉필의 호)의 가범(家範)'으로 숭상되었다.

기본이 잘 되어있어야 확장성이 크다. 넓고 깊게 된다. 기본이 되어있지 않으면서 정치적 술수로 차지하는 자리는 자신과 세상에 해악이 된다. 불치의 병에 들게 한다. 악업을 쌓는 일이다.

거짓과 부허(浮虛)에 더해 독선과 독설, 욕설, 비방이 난무하는 국회를 보자니 드는 생각이다. 기본조차 되지 않은, 미숙아보다 못한 사람들이 설치고, 지도자라 으스댄다. 그런 세상이 개탄스럽다. 바라만 보고 있는 것도 역겹다. 또, 그런 사람을 선출한 나는 무엇인가? 반성하게 된다. 또 한 번 강조하건데, 잘못을 알면서 고치지 않는 것, 그것이 잘못이다.(過而不改 是謂 過矣, <論語>) 더 큰 잘못이다.

다시 일깨워본다. 중요 내용을 네 글자씩 묶은 것이 <사자소학>인데, 수신편에 나오는 내용 몇 마디 다시 새긴다.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행동은 반드시 바르고 곧게 하고, 말은 미덥고 성실하게 하며, 용모는 단정하게 하고, 의관은 바르고 가지런하게 하라."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자기가 하고 싶지 아니한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선행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뒤에 경사가 있고, 불선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뒤에 재앙이 있다."

"남을 손해 보게 하고 자신을 이롭게 하면 마침내 자신을 해치는 것이다. 재앙과 복은 특정한 문이 없어 오직 사람이 불러들인 것이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최종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