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묘에 종사된 18현을 '동방18현' 또는 '동국18현' 이라고도 부른다. 유명세나 높은 벼슬, 권력에 의해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독창적 학문세계, 양심과 도덕에 따른 실천이 주이다. 뛰어난 학식과 덕망, 학자로서 위상, 업적이 높아야 선정된다고 한다. 유학자로서 최고의 영예가 아닐 수 없으며, 만인의 칭송을 받는다.
동무 3번째에 종사되어 있는 인물이 김굉필(金宏弼, 1454~1504, 문신학자)이다. 김종직의 제자이며, 조광조에게 학문을 전수하여 우리나라 유학사의 정맥을 있게 했다. 별도로 언급하는 것은 오늘의 주제를 위해서다.
어려서는 꽤 폭력적이었던 모양이다. 사람들이 그를 만나면 피했다고 한다. 좋게 말하면 성품이 호방하고 거칠었던 것이다. 늦게 분발하여 학문에 힘썼다. 김종직 문하에 들어가 <소학>을 배웠는바, 그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일컬었다.
소학은 8세 안팎의 어린이 유교 입문서로 수신서(修身書)이다. 기초학습은 물론, 수신과 수양, 관계 및 생활규범, 생활철학이 주로 담겨있다. 거칠었던 자신의 성품을 <소학>으로 반추해보니 잘 못이 충격적으로 다가와 크게 깨닫게 되고, 깊은 감동으로 다가왔던 모양이다. 사람노릇을 제대로 해야겠다고 다짐한다. 깊고 성실하게 <소학>을 따라 처신한다. 나이 삼십에 이르러서야 다른 책을 접하고 경서를 섭렵하였다.
그럼에도 문묘에 종사 되었던 것은 경학에 치중하여 '치인(治人)'보다는 '수기(修己)'에 힘쓴 까닭이다. <소학>에 입각한 처신(處身),복상(服喪)·솔가(率家) 자세는 당시 사대부들의 귀감이 되었으며, '한훤당(김굉필의 호)의 가범(家範)'으로 숭상되었다.
기본이 잘 되어있어야 확장성이 크다. 넓고 깊게 된다. 기본이 되어있지 않으면서 정치적 술수로 차지하는 자리는 자신과 세상에 해악이 된다. 불치의 병에 들게 한다. 악업을 쌓는 일이다.
거짓과 부허(浮虛)에 더해 독선과 독설, 욕설, 비방이 난무하는 국회를 보자니 드는 생각이다. 기본조차 되지 않은, 미숙아보다 못한 사람들이 설치고, 지도자라 으스댄다. 그런 세상이 개탄스럽다. 바라만 보고 있는 것도 역겹다. 또, 그런 사람을 선출한 나는 무엇인가? 반성하게 된다. 또 한 번 강조하건데, 잘못을 알면서 고치지 않는 것, 그것이 잘못이다.(過而不改 是謂 過矣, <論語>) 더 큰 잘못이다.
다시 일깨워본다. 중요 내용을 네 글자씩 묶은 것이 <사자소학>인데, 수신편에 나오는 내용 몇 마디 다시 새긴다.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행동은 반드시 바르고 곧게 하고, 말은 미덥고 성실하게 하며, 용모는 단정하게 하고, 의관은 바르고 가지런하게 하라."
"다른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자기가 하고 싶지 아니한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 선행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뒤에 경사가 있고, 불선을 쌓은 집안은 반드시 뒤에 재앙이 있다."
"남을 손해 보게 하고 자신을 이롭게 하면 마침내 자신을 해치는 것이다. 재앙과 복은 특정한 문이 없어 오직 사람이 불러들인 것이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