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전략산업 육성은 융합적 사고 필요"

  • 정치/행정
  • 대전

"대전시 전략산업 육성은 융합적 사고 필요"

'2024 대전 전략산업 포럼'에서 전문가들 입모아
대전시 전략산업 맞춤형 육성 전략 마련 요청

  • 승인 2024-10-31 17:04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KakaoTalk_20241031_165407196
'2024 대전 전략산업 포럼'이 10월 31일 기초과학연구원(IBS) 과학문화센터 대강당에서 대전시를 비롯해 시 출연기관, 출연연, 대학, 지역기업 등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사진은 이상문 기자
"대전시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융합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2024 대전 전략산업 포럼'이 10월 31일 기초과학연구원(IBS) 과학문화센터 대강당에서 대전시를 비롯해 시 출연기관, 출연연, 대학, 지역기업 등에 종사하는 다양한 전문가와 시민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대전시와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주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전략산업 간 융합과 협력'이라는 주제로 핵심 전략산업과 미래 신성장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선희 대전시 미래전략산업실장은 '민선 8기 전략산업 성과 및 2030 액션플랜'에 대해 설명하면서 "대전은 우주항공, 바이오헬스, 나노반도체, 국방 등 4대 전략 산업을 비롯해 에너지, 양자, 로봇까지 첨단산업의 핵심 기지"라면서 "대전은 국가 R&D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경제도시로 충분한 가능성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별강연에서 참석한 패널들은 전략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융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석재 나노종합기술원 본부장은 "대전의 바이오 산업이 꽃을 피우기 시작했지만, 바이오 대전환기가 도래했다. 바이오 파운드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선 반도체와의 접목이 필요하다"면서 "반도체 기술, IT, AI 기술 등을 접목한 바이오 산업 대전환의 가속화와 핵심기술 선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맹필재 바이오헬스케어협회 회장은 "알테오젠과 리가켐(구 레고켐) 바이오 등 대전 지역 내 바이오기업들이 30여년의 지원을 바탕으로 성과를 내고 있다"면서 "원스톱 지원과, 적절한 투자, 임상시험을 위한 병원 유치, 선진형 정주 여건 구축, 글로벌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 등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계광 대전방위산업연합회 회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K방산이 뜨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들에게는 나아진 점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국방산업은 여러 특수성을 갖고 있는 만큼 이에 맞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전지역은 스타트업이 많은 만큼 산업단지 입지 조건을 20인 이상에서 5인 이상으로 완화해 주고, 지역 기업을 위한 일정 부분 부지 쿼터제 도입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재원 ㈜컨텍 부대표는 "대전시의 우주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SAT의 성공적인 개발과 이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우주기업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연구 개발 투자 확대와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 및 금융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부대표는 "대전 SAT의 성공적인 개발은 지역 내 다양한 첨단산업과 시너지 효과가 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경수 인애이블퓨전 대표는 전형 핵융합에너지 클러스터의 구축을 위한 협력 전략을, 강노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본부장이 양자클러스터 대전 유치를 위한 성공적 전략을, 공경철 엔젤로보틱스 대표가 대전 로봇산업 성장을 위한 기업지원 방안을 각각 발표하면서, 지역 맞춤형 육성 전략 수립을 당부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수원동 싱크홀 발견…주민 민원에도 조사 없이 넘어갔다가 재발
  2. [2025 과학의 날] 도전과 혁신의 40년, 바이오 미래를 여는 생명연
  3. 조기대선 중반전 충청판세는 李 독주 국힘 주자들 추격전
  4. 깊고넓은 콘크리트 농수로 생태계 위협…야생동물 떼죽음 '속수무책'
  5. 특수학생 챙기는 특수교육실무원들 "교육복지 재정과 인력 확충해야"
  1. 대전시-한밭대, 반도체 중심 지역혁신 선도
  2. 대전 유성구청, 과학의 날 맞이 천제사진 전시
  3. 의대 정원 다시 줄어도 지역인재전형 권고율 60% 유지될 듯
  4. [사설] 행정수도 완성, 말뿐인 '선거용' 안 된다
  5. 목원대, 영덕 산불피해 주민에 희망 전해… 맞춤형 식사봉사·성금 전달

헤드라인 뉴스


거대양당 `세종시대` 한목소리…이제는 실천만 남았다

거대양당 '세종시대' 한목소리…이제는 실천만 남았다

6·3 대선을 앞두고 거대양당이 앞다퉈 '세종 시대'를 약속한 가운데 이제는 말이 아닌 공약이행을 위한 행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선거 때만 되면 충청 표심을 겨냥한 선심성 공약을 남발한다는 비판을 해소하려면 대선 이후 신속한 정치적 합의로 진정성을 입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3 대선정국이 중반을 향해 치닫고 있는 가운데 최대 이슈 중 하나는 우리나라 정치 중심을 서울 여의도에서 세종시로 옮기는 이른바 '세종 시대' 실현 여부로 모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양대 정당이 모두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이..

‘대전형 판교’ 10년 로드맵 수립…도심융합특구 지원 구체화
‘대전형 판교’ 10년 로드맵 수립…도심융합특구 지원 구체화

정부가 대전 동구와 중구를 포함한 전국 5개 광역시에 지정된 '도심융합특구'의 발전을 위해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나선다. 경기 침체와 협의 지연 등으로 지지부진했던 대전역세권 개발의 핵심인 '복합2구역 개발사업'도 최근 활로를 찾은 만큼, 관련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이 기대된다. 국토교통부는 22일 국토연구원에서 '도심융합특구 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체계적인 발전전략 마련에 나섰다. 연구는 내년 9월까지 약 1억 60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종합발전계획에는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한 범부처 지원방안, 선도기업..

`세종시 테마주` 계룡건설…주가 급등에 22일 거래 정지
'세종시 테마주' 계룡건설…주가 급등에 22일 거래 정지

'세종시 테마주'로 지목된 충청권 기반 건설사 계룡건설의 주식 거래가 22일 하루 동안 정지됐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투자경고종목 지정 이후에도 주가가 2일간 40% 이상 급등했다"며 계룡건설의 주식 거래 정지 사유에 대해 설명했다. 계룡건설의 주가는 4월 11일 종가 기준 2만 2350원까지 상승하며 투자 경고 종목으로 지정됐고, 21일에는 3만 1300원까지 올랐다. 2거래일 전인 17일(1만 8550원)과 비교하면 68.73% 오른 수치다. 충청권 건설사 중 유일한 상장사인 계룡건설은 조기 대선을 앞두고 여야 출마 후보들이 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사이버 위법행위 ‘꼼짝마’

  •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미사 프란치스코 교황 추모 미사

  • 환경 꿈나무와 함께 하는 탄소중립 체험행사 환경 꿈나무와 함께 하는 탄소중립 체험행사

  •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 시원한 물보라…‘더위 비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