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책임연구원 |
이 상황을 독성물질로 연결해서 생각해 보자. 일반적으로 물질의 독성을 이야기할 때 유해성과 위해성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된다. 유해성(Hazard)이란 물질, 상황, 또는 행동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위험이나 해를 끼칠 수 있는 본질적인 특성을 의미한다. 독성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신규로 합성된 물질이나 이미 생산돼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 갖고 있는 성질에 대해 안전한가 위험한가를 평가하는 것이 독성학적 평가라고 한다.
위해성(risk)이란 용어를 살펴보자. 유해성과 위해성은 발음도 비슷하고 의미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잘못 적용하기가 쉽다. 위해성은 특정 유해요인에 노출돼 실제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과 그 피해의 심각성을 결합한 개념이다. 유해성과 위해성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자주 예를 드는 것이 처음에 언급한 퓨마와 같은 맹수류와 사람과의 관계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맹수류는 인간에게 위협적이고 위험한 동물로 알려져 있다.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런 맹수류가 실제로 우리에게 위험을 초래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대부분은 부정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환경에서 무방비 상태로 맹수에 노출될 상황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우리는 맹수의 유해도는 높으나 위해도는 낮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맹수류가 많이 살고 있는 나라의 야생지역을 여행한다고 가정하면, 이 상황의 맹수류의 유해도와 위해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유해성과 위해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평가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10여년 전에 서울시에서 낙지의 머리 부분에 중금속이 다량 축적돼 있으니 먹지 않는 게 좋다는 발표를 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당시 어민들은 생계를 위협받는 상황에 몰리게 되며, 항의 시위를 했고 결국 서울시장이 관련 사항에 대해 사과를 하는 등 사회적 이슈로 부각됐다. 잊을 만하면 한 번씩 식재료 속에 유해도 높은 물질이 포함돼 유통된 사실이 기사화되면서 일반 국민들을 불안에 떨게 만든다. 식품의 위해도 역시 노출량과 노출 시간이 종합적으로 고려가 돼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인체나 환경에 대한 영향력을 판단해야 한다. 낙지의 머리에 중금속이 축적돼 있는 것은 잠재적 위험도가 높다고 이야기할 수 있지만, '우리 식탁에서 매일 볼 수 있는 밥이나 채소만큼 낙지를 자주 먹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면 낙지의 상대적 위해도는 낮다고 볼 수 있다.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 낮은 농도로 지속적인 노출되는 상황이 필요한데 우리가 사용하는 평가모델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평가모델이 장기간 노출에 적합하지 않은 것도 있지만 인체나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개별마다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컴퓨터 모델링으로 위해도를 예측하기도 하지만 계산식에 의한 예측치는 예상치 못한 변수를 반영하기가 어렵다.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란 각 개인의 질병 보유, 흡연 및 음주 여부, 영유아 및 노년층의 생리학적 반응, 영양 상태, 유전적 차이 등이 포함된다.
독성연구는 지금까지 유해성 중심으로 진행돼 왔지만, 궁극적으로는 위해성 평가의 정확도 여부가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보장하게 될 것이다. 뉴스에서 위험한 물질이 유통됐다는 소식을 듣게 되면, 막연히 두려워하지 말고 일단 숨을 고르자. 그리고 내가 그 물질에 얼마나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가를 생각해 본다면 안전한 생활의 첫걸음이 시작된 것이다. 윤석주 안전성평가연구소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