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무렵 가을, 풍성한 공연, 전시로 막바지 준비

  • 문화

끝무렵 가을, 풍성한 공연, 전시로 막바지 준비

대전시립박물관, '대전 지석' 특별전 연계 특강
대전연정국악원, 젊은 국악부터 바로크음악제

  • 승인 2024-10-31 17:02
  • 신문게재 2024-11-01 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막바지 무르익은 가을 끝무렵 11월이 다가왔다. 쌀쌀해진 날씨는 마음을 간지럽히는 듯 쓸쓸한 감정을 뿜어낸다. 가을의 센치한 감정, 정취를 닮은 공연은 우리의 감정을 더욱 증폭시킨다. 눈과 귀를 사로잡는 문화예술의 향연은 가을 끝무렵의 빈 자리를 채워준다. 가을철 완연한 단풍을 밟고, 차가운 공기를 따라 찾은 공연 전시들로 아쉬운 가을을 보내줄 준비를 해볼까. <편집자 주>

창원유씨세보
대전시립박물관 '대전지석代傳誌石-돌과 흙에 새긴 삶'에 전시된 창원유씨 세보. (사진= 대전시립박물관)
송문흠 지석
대전시립박물관 '대전지석代傳誌石-돌과 흙에 새긴 삶'에 전시된 송문흠 지석. (사진= 대전시립박물관)
△조선 사람의 죽음, 그리고 남은 사람들

대전시립박물관이 '대전지석代傳誌石-돌과 흙에 새긴 삶' 특별전 연계 특강 '조선의 묘제와 지석'을 개최한다.

'지석(誌石, 죽은 사람의 인적을 새겨 무덤에 넣는 판 등의 물건)'을 주제로 한 특별전시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한 자리로 두 가지 주제로 2회에 걸쳐 진행된다.



특강1
'대전지석代傳誌石-돌과 흙에 새긴 삶' 특별전 연계 특강 홍보 포스터.
첫 주제는 지난 25일 '조선 사람의 죽음과 묘제'를 테마로 열렸다.

두 번쨰 '조서의 지석'은 11월 1일 진행되며, 특강 뒤에는 학예사의 해설과 함께하는 전시관람이 준비되어 있다.

특강은 선착순 신청자 30명을 대상으로 무료로 진행되며 대전시립박물관 홈페이지에서 10월 16일 수요일부터 신청할 수 있다.

대전시립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자기 자신과 가족에 대해 돌아보는 관람객들이 많다"며 "조선시대의 사람들은 가족의 죽음을 어떻게 맞이하였는지, 지금의 우리와 어떻게 같고 다른지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6 시청 인스타그램 메인컷(700_875)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젊은 국악' 포스터.
△국악이 형상화한 비

대전시립연정국악단은 11월 1일 오후 7시 30분 풍류마당 협주곡의 밤 '젊은국악'을 국악원 큰마당 무대에 올린다.

'젊은국악'은 재능있고 참신한 연주자를 발굴·육성하여 국악 발전에 기여하고자 매년 협연자를 공개 모집하여 선보이는 무대로, 올해 협연자 공모에는 92명(팀)이 참여했다.

공정한 심사를 통해 선발된 6명(팀)의 주인공은 가야금 주여진, 생황 이준혁, 거문고 김채영, 가야금병창 이현조, 해금 강현지, 사물 이종문(장구), 박석찬(꽹과리), 고유민(바라), 임세연(징)으로 시립연정국악단과 함께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일 것이다.

'젊은국악' 공연에서 선보이는 프로그램은 비를 형상화해 25현 가야금의 음색과 기교를 통해 마치 노래하듯 표현한 곡 25현 가야금을 위한 협주곡 '비歌(가) 二番(2번)'을 시작으로, 나쁜 기운을 모두 풀어내어 없애버리고 좋은 기운을 불러들이는 생황 협주곡 '생황을 위한 푸리', 한국적인 선율과 생동감 넘치는 장단을 거문고의 강렬함 속에 담아낸 거문고 협주곡 '섬화(閃火)'를 선보인다.

이어 판소리 적벽가 중 한 대목을 부르는 가야금병창 협주곡 '적벽가 중 화룡도', 우리 민족의 삶 속에 맺힌 한을 신명으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표현한 해금 협주곡 '혼불Ⅴ-시김'등을 연주한다.

국악의 미래를 이끌 젊은 예인들이 함께 만들어 가는 이번 공연은 강원특별자치도립국악관현악단 김창환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가 객원지휘를 맡아 국악관현악의 웅장하면서도 강렬한 무대를 관객들에게 선사할 것이다.

공연입장료는 전석 5천 원이며, 자세한 내용은 대전시립연정국악원(www.daejeon.go.kr/kmusic) 홈페이지, 인터파크(ticket.interpark.com)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고 기타 궁금한 사항은 대전시립연정국악단(☎042-270-8585)으로 문의하면 된다.

바로크음악제(국악원)
바로크 음악제 홍보 포스터. (사진=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한국과 서양의 만남

대전시립연정국악은 KBS대전방송총국, 대전예술기획과 공동으로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의 전통음악을 소개하는 제10회 바로크음악제'한국음악이 있는 세계의 바로크'공연을 11월 2일부터 10일까지 국악원 큰마당과 작은마당에서 개최한다.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이번 바로크 음악제는 한국의 전통음악과 서양의 전통음악을 함께 소개하는 국내 유일의 축제로 2015년 고(古)음악을 복원하고 현대 악기가 아닌 그 시대의 원전 악기로 연주되는 소리를 관객들에게 선보이기 위하여 시작됐다.

이후 서양음악의 원류인 클래식 장르뿐만 아니라 한국의 고전음악과 동양의 음악 등을 함께 연구하고 복원해 가장 전통적인 음악을 현대의 새로운 느낌으로 표현하고 있다.

먼저, 2일(토) 국악원 큰마당에서는 리퀴드 사운드가 '동서고악 음(音)으로 통하다'는 주제로 한국의 대금, 해금, 아쟁 그리고 타악 연주자와 바로크 첼로, 트라벡소, 바로크 바이올린, 리코더, 하프시코드 등 바로크 음악자가 만나는 협업 연주회를 연다.

작은마당에서는 조성연 & 아니마 코르디 바로크 오케스트라가 바로크 시대의 매혹적인 음악을 통해 이탈리아의 음악적 유산을 탐구한다. 웨이스의 류트와 현악기 협주곡, 비발디의 'Alla Rustica' 현악 협주곡 등 바로크 시대의 화려함과 정교함을 보여준다.

5일과 6일에는 국내 유파별 국악 명인들이 펼치는 <명인 산조의 밤>'산조와 대풍류','산조와 시나위'를 선보인다.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고법 보유자인 김청만 명고의 장단과 목원대학교 이태백 교수의 연출 및 장단으로 다양한 전통악기의 명인들과 예인들이 들려주는 악기의 미세한 성음까지 체험할 수 있다.

7일에는 바로크 음악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듀오 A&U가 8현 기타를 사용하여 보여준다. 바로크 시대의 음악적 언어가 오늘날까지 어떻게 공명하는지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9일 14시와 18시에는 미디어아트와 토속민요 소리로 풀고 있는 <불세출>이 우리의 인생 이야기를 노래한다. 10일에는 네덜란드 리라타 앙상블이 다양한 감정으로 가득한 음악을 선사한다.

대전시립연정국악원 관계자는 "국악원 하반기 예술축제 한국음악이 있는 세계의 바로크 음악제는 국내 유일 동·서양의 고(古) 음악 축제로 시민 여러분께서는 동·서양악기들의 음색과 음악의 차이를 비교하며 아름다운 울림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尹 파면] 대통령실 세종 완전이전 당위성 커졌다
  3.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4.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5.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1.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2. 50m 줄자로 사흘간 실측 끝에 "산성이다"… 본격 발굴 전부터 고고학 발견 '잇달아'
  3. [尹 파면] 윤석열 입장문 발표…"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
  4. 尹 탄핵심판 선고일 대전 둔산동 거리에 1500명 운집 예상
  5. 심리상담 받는 대전 교사 9년간 7배 폭증… "교육활동보호 분위기 조성돼야"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