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청년작가지원전은 '모든 경계에서 주저 없이 행동하라'는 부제와 함께 대전창작센터에서 고정원, 서유라, 임수미의 작업 세계를 소개했다. 설치 작업을 하는 고정원은 거대 자본주의의 허무함과 공허함을 주제로 삼았다. 그의 작업은 삶의 현장에서 미술 현장으로, 도시 생활에서 작품으로의 전환, 오브제의 사회적 기능과 예술적 심미적 논거 사이에 표류하는 동시대 미술의 흐름 속 일종의 자기 고백이다. 그는 해당 전시에서 자본주의의 상품 전략을 대변하는 간판의 기능과 미술의 심미적 논거를 과제 삼아 현대화의 과정을 가시화했다. 대전창작센터 건물 외벽에 설치된 간판의 'KIN'(혹은 즐)이라는 글자는 당시 온라인을 중심으로 퍼진 일종의 은어로 '저리 가라', '상대하기 싫다'라는 의미다. 고정원은 이를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라 명하며 특유의 위트로 현대사회를 풍자했다. 전시장 안에 걸린 인물사진은 간판 일을 평생 해 온 아버지의 초상으로 그 일을 물려받아 작업하는 작가 자신과 오버랩하여 현재와 과거의 시간을 은유했다.
서유라는 회화를 주 매체로 '인간의 종합하는 능력'을 탐구했다. 화면 전체에 펼친 또는 닫힌 책들이 겹겹이 쌓여있는 장면을 통해 불완전한 종합의 구조를 드러낸다. 이를 통해 필요에 따라 설정된 개념이나 형식이 존재를 억압하는 틀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하고, 불완전하고 취약한 것이 곧 현실임을 암시한다. 임수미는 자신의 작업은 매일 부딪히며 살아가는 일상 혹은 자기 삶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 시대의 흐름 대신 솔직한 자기 고백이 작업의 중심에 있으며, 모두가 공유하는 하나의 언어로 기능하는 예술을 추구한다. 당시 전시에서는 톱, 망치, 붓, 커터 칼을 비롯해 입던 작업복까지 일상 속 단순한 오브제를 통해 소통의 고리를 마련하고자 했다. 이렇듯 2015년 넥스트코드는 자기 정체성에 관한 끝없는 탐구와 비판의식을 청년 특유의 실험성으로 풀어낸 전시였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