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진 교수. |
세계적으로 노벨문학상이 갖는 권위와 명성은 두말할 필요조차 없다. 과거에도 몇몇 문인들 이름이 거론되고 기대를 모았지만 좌절하고 말았던 기억이 아프다. 이웃 나라 일본과 중국은 이미 수상자를 배출한 부러움 반 질투심 반에 상심이 큰 터에 여간 기쁜 일이 아닐 수 없다. 한강은 맨부커상과 메디치 외국문학상 등 유명 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익히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수상은 난데없는 게 아니다. 그는 역사와 개인의 문제에 깊이 천착해 왔다. 이를테면 그의 소설은 파행적인 한국 근대사의 폭력적 전개 과정에서 고통받고 억압받는 사람들의 비명과 눈물의 역사에 바치는 헌사다.
한강의 수상은 비단 작가 개인의 경이롭고 경탄할 만한 문학적 성취에만 국한할 수 없다. 일제 강점, 분단과 전쟁, 군사독재, 산업화, 민주화라는 파란과 곡절의 파행적 근대사에 착목하면서 역사적 성찰을 통해 이룩한 한국 근대문학의 결실이자 쾌거이며, 한국 문화예술에 선사한 은총이자 축복이다. 한국 근대소설의 효시 '무정'이 발표된 해가 1917년이니 노벨문학상을 내기까지 백여 년이 넘게 걸린 셈이다. 영화, 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국제적 위상을 높이던 차에 그의 수상은 한국 문화예술의 위상을 다시금 확인해 준다.
그럼에도 보수정권에서는 한강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탄압했고, 또 일각의 극우단체나 문화 보수주의자들은 '채식주의자'를 소위 유해도서로 규정해 학교 도서관 비치를 반대한다. 시대착오적인 이들은 주한 스웨덴 대사관 앞에서 한림원이 좌경화되었다 떠들며 수상을 취소하라는 추태를 서슴없이 부렸다. 이보다 더 황당한 점은 작가의 출신 지역을 문제 삼는 고질적인 병적 반응이다. 밀란 쿤데라의 말을 빌려 작가와 작품은 본질적으로 다른 두 세계이며, 이 두세계를 구분하는 커튼을 찢어발기는 자들이야말로 범죄자들이다.
수용미학적 입장에서 정치 윤리적 이념을 앞세우는 이들은 '채식주의자'가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지만, 그건 신비평가들이 신랄하게 비판한 일종의 '영향의 오류'를 답습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들도 개인적 취향이 있고, 독립적 자기 세계가 있으며, 주체적인 심미적 가치 판단 능력이 있다. 학생들을 불완전하고 미성숙한 존재로 여기며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가부장적 사유는 독선이며 꼰대들의 아집이다. 세상이 불온하니 너희는 내 통제와 보호 아래 두어야 한다. 이는 마치 자식을 소유물로 여기고 내 맘대로 동반자살을 선택하는 살인 행위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들에게도 선택의 권리와 자유가 있다.
무시로 접근 가능한 감각의 직접성을 자랑하는 각종 미디어의 음란물은 어쩌나. 그런 식이면 스마트폰을 거두고 인터넷을 차단해야 한다. 아니면 에덴으로 돌아가야 한다. 몇 해 전 코바나콘텐츠 주관 예술의전당 특별전, '걷는다는 것' '가리키는 사람'으로 유명한 알베르토 자코메티는 아내가 버젓이 있음에도 밤마다 사창가를 찾는 일을 평생 반복했다. 이땐 커튼을 찢지 않았다. 잔칫집 난봉꾼은 오랜 서사관습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