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골령골 2학살지에서 유해가 추가로 드러나 4주간 발굴조사를 벌여 20~30명의 유해를 확인했다. 29일 대전NGO센터 역사탐방 참여자들이 발굴현장을 견학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
골령골 2학살지 현장은 1학살지 추모비가 있는 곳에서 500m가량 떨어진 산비탈인데 과거에는 물이 흐르는 계곡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은 최근까지 블루베리 과실수 농사를 짓던 곳으로 농장이 다른 곳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표면에서 신체 일부의 유해가 발견되면서 집단학살 매장 가능성이 제기됐다. 자연 계곡을 그대로 사용해 민간인 학살 후 매장했는지 발굴지 상부에서 하부까지 폭이 좁았다가 점점 넓어지는 형태에 총 길이 대략 10m 가량의 매장지가 드러났다.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관계자는 "유족회가 마을 탐문 과정에서 유해 일부를 발견해 집단매장지를 찾게 되어 4주간에 걸쳐 발굴을 마무리하는 시점"이라며 "단추와 칫솔 등 현장에 발견된 유류품 종류가 다양한 것을 보아 형무소 재소자보다는 보도연맹 사전검속자 또는 부역 혐의자에 대한 민간인 학살지로 추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해는 넙다리뼈 등이 뒤엉켜 있는 상태로, 과거 구덩이에 여러 명의 시신을 켜켜이 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수습된 유해는 대략 20~30명이 이곳에서 학살되어 매장됐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을 정도 규모다. 최근까지 대전 골령골 민간인 학살지에서 유해발굴을 통해 총 1441명의 유해가 수습됐고, 이번에 추가 발굴에서 확인되는 명수 만큼 수습 유해는 늘어날 전망이다.
대전산내희생자유족회는 그동안 발굴에서 유해를 수습한 뒤 모두 흙으로 되덮었으나, 이번만큼은 현장 구조를 유지한 채 일부 유류품을 시민들이 볼 수 있도록 현장을 그대로 보존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전미경 대전산내희생자유족회 회장은 "이번에 유해를 발굴하면서 드러난 구덩이를 흙으로 묻어 흔적을 없애지 말고 그대로 보존해 추모평화공원 조성 전까지 교육 장소로 활용해야 한다"라며 "민간인 학살을 기억하고 교육하는 추모평화공원 조성에 예비타당성조사가 왜 필요한 것인지 행정절차 때문에 착공도 못하고 있다"라고 토로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