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효준 기자 |
자기소개서 쓰는 방법, 공모전 및 경진대회 공략법 등 여러 기술들을 준비한 내가 바보였다. 아직 사회에 첫발을 내딛지 않은 20대 초반의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거창한 방법론 같은 게 아니었다. 초·중·고등학교를 지나 대학을 오고 나서도 배울 수 없었던 꿈, 대전에서 뻗어 나갈 수 있는 진로와 가능성, 그리고 현실. 바로 여기서부터가 시작이었던 것이다.
일자리 미스매치는 대전 기업들의 해묵은 고민이다. 청년 인구 비율이 전국 2위에 달할 정도로 최상위권(지난해 기준 26.8%)인 게 대전인데, 인력을 확보하기 너무 어렵다고 지역의 기업들은 하소연한다. 물론 여기엔 대놓고 말하지 못하는 전제조건이 달린다. 바로 낮은 임금으로 일할 우수한 인력이 없다는 뜻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 대전의 상장기업은 61곳에 달한다. 올해만 일곱 곳이 상장하면서, 대전은 이제 6대 광역시 중에서 인천(94)과 부산(82) 다음으로 상장기업이 많다. 시가총액은 57조 원으로 인천에 이은 두 번째다.
그런데도 대전의 임금은 여전히 전국 중하위권에 머무른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올해 4월 시·도별 임금·근로시간 조사를 보면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1인당 임금 총액은 대전이 372만 1000원으로 17개 시·도 중 11위다. 물론 크고 작은 편차가 존재하겠지만, 겉으로만 휘황찬란할 뿐 실속은 전혀 없다는 핀잔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나를 찾아온 후배들 중 유난히 눈빛이 반짝이던 한 학생이 있었다. 자신감이 넘치는 목소리와 표정에 문득 그 나이였던 나의 모습이 잠시 떠올랐지만, 당시 내가 가지고 있던 오만함이 그 친구에게는 보이지 않았다. 패기를 주체하지 못하고 기어코 적을 만들었던 나와 달리 분명 누구나 탐낼 만한 원석 같은 인재였다.
안타깝게도 무궁무진한 성장 가능성을 가진 그 후배에게 추천해줄 만한 기업이 대전에서는 그리 많지 않았다. 대전 상장기업이 61곳이나 된다고 하지만, 야망이 가득한 그가 현실을 들으면 실망할까 두려웠기 때문이다. 수도권 기업들과 비교할 수 없는 연봉과 대우 수준을 대략 알고 있는 탓도 크다.
나는 열정이 가득한 청년들이 대전에 남길 바란다. 꿈과 성장을 위해 떠나야 하는 도시가 아닌, 그 모든 게 실현 가능한 도시가 서울이 아닌 이곳이길 원한다. 그러기 위해선 이제 기업들도 달라져야 한다. 원석 같은 청년들이 안심하고 미래를 그려나갈 수 있도록 말이다. 그 친구들은 결국엔 이곳에서 세상을 바꿔줄 것이다. 어쩌면 균형발전의 실마리도 여기에 있을 수 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