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2027 'U대회 공동 개최' 효과 퇴색되나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2027 'U대회 공동 개최' 효과 퇴색되나

종합운동장 건립은 정부 예비타당성 문턱 못 넘어 희망고문
일말의 기대 안은 '실내 체육관+수영장'도 4차례 유찰...정상 건립 위기
탁구만 정부청사 체육관서 개최...'선수촌+조직위+폐회식'만 덩그러니?

  • 승인 2024-10-28 15:15
  • 수정 2024-10-29 06:47
  • 신문게재 2024-10-29 3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지역별 종목
각 지역별 분산 개최 종목 현황. 사진=조직위 제공.
세종특별자치시가 2027년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U대회) 공동 개최 효과를 극대화하려던 구상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미 육상 트랙을 포함한 종합운동장 건립안은 정부의 예비타당성 문턱을 넘지 못한 채 희망고문을 지속하고 있고, 그나마 가능하다고 여긴 종합체육시설마저 4차례 공고 유찰과 함께 빨간불을 켜고 있다.

이 때문에 '수구' 경기는 다른 지역에 내줘야 할 판이고, '탁구' 종목을 치를 플랜 B 경기장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상대적으로 개최 종목이 적어 확대하려던 '골프'도 충남 천안에서 최종 진행키로 했다.

10월 28일 세종시에 따르면 세종시 대평동 소재 종합체육시설은 탁구 종목을 수용할 실내 체육관(연면적 1만 1390㎡, 관람석 4000석)과 수구 종목에 필요한 실내 수영장(연면적 1만 509㎡, 관람석 3000석)으로 준비되고 있다.



문제는 종합체육시설의 정상 건립안이다. 2027년 8월 1일 대회 개막 전까지 정상 공기에 맞춰 완공이 어려워졌다. 2024년 7월부터 시작된 건립 공사 공고에 응찰자가 나타나지 않으면서다. 사업비가 1㎡당 403만 원에서 456만 원까지 올랐으나 지난 주 최종 4차 공고에도 찬바람만 불었다. 건립 주체인 행복도시건설청과 대회의 공동 운영을 맡은 세종시가 사업 정상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야속한 세월만 흘러가고 있다.

세종 종합운동장
현재 정부의 예비 타당성 검토 문턱을 넘지 못한 종합운동장 조감도. 4년 가까이 세종시민들의 희망고문으로 남아 있다. 사진=세종시 제공.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종합 체육관' 플랜 B로 쓰이나=종합체육시설 건립이 결국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할 경우, 수구는 대전이나 충남으로 개최지를 옮겨가야 한다. 정부세종청사 종합 체육관 내 25m 10레인 수영장이 있으나 여기서 수구 종목을 수용하기는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다만 정부청사 체육관의 다목적홀을 활용하면, 탁구 종목 개최는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운영 사무실과 헬스장 등의 활용 여지도 있다. 하지만 대회 기간이 2주에 가까워 이 시설의 주 사용층인 정부부처 공직자들과 시민들의 불편 민원이 불가피하다.

아쉬운 대목은 더 있다. 골프까지 3개 종목 진행이란 구상도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산울동 세종 필드GC는 국제 규격 문제로, 전의면 레이캐슬과 에머슨 CC는 민간 이용자 등과 상충으로 적격성 문턱을 넘지 못했다. 골프는 천안 상록컨트리클럽으로 옮겨갔다.

이 같은 흐름이라면, 각 지역별 경기는 충청권 22개 경기장에서 △충북 9개 : 양궁과 기계체조, 육상, 배드민턴, 농구, 유도, 리듬체조, 태권도, 조정 △충남 5개 : 테니스와 배구, 수구, 비치발리볼, 골프 △대전 3개 : 다이빙과 펜싱, 경영 △세종 1개(?) : 탁구로 굳어질 가능성이 높다.

선수촌
세종시 합강동 스마트시티 선수촌 조감도. 사진=U대회 누리집 갈무리.
▲'선수촌+폐회식+조직위' 실익에 만족해야 할까=종합운동장 건립이 요원해진 상태에서 실내 체육관과 수영장마저 완공이 어려워진 현실. 공동 개최지이나 탁구 종목 하나만 열 수도 있는 상황.

그렇다고 U대회 개최가 세종시에 실익을 안겨주지 않는 건 아니다. 세종시 어진동 KT&G 건축물에 둥지를 튼 대회 조직위원회가 앞으로 3년 가까이 세종시에 둥지를 트는 것 자체가 큰 메리트다. 2023년 6월 출범 이후 조금씩 조직 규모를 키워오며, 1위원장과 1부위원장, 3본부, 1부에 걸쳐 189명까지 늘었다.

대회 기간인 2027년 8월 1일부터 12일까지 150개국 1만 5000여 명이 세종시 합강동(5-1생활권) 스마트시티 선수촌(임대 아파트 2300호)에 둥지를 트는 흐름도 긍정적 대목이다.

대회의 대미를 장식하는 폐회식도 8월 12일 세종동(S-1생활권) 중앙공원 잔디광장 일대에서 열린다. 당일 이상 폭염이나 우천 소식이 있을 경우, 대체 공간은 현재 모색 중이다.

그럼에도 종합체육시설을 넘어 종합운동장 완공은 미룰 수 없는 과제로 다가온다. 정부와 지자체가 당초 2020년 전·후 완공 로드맵을 제시해온 시설인 만큼, 더 이상 세종시민들에 대한 희망고문은 행정 신뢰도를 떨어트리는 대목이다.

때마침 강창희 하계 세계대학경기대회 조직위원장과 이창섭 부위원장, 김형렬 행복도시건설청장, 최민호 세종시장은 10월 29일 오전 10시 어진동 조직위 사무실에서 만나 앞으로 대책 마련에 머리를 맞댈 계획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대회 시설 계획
각 지역별 주요 경기 인프라 현황. 사진=조직위 제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尹 파면] 대통령실 세종 완전이전 당위성 커졌다
  3.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4.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5.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5.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