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
2024년 교육계도 소란하긴 마찬가지다. 지난해만큼 사건사고는 덜하지만 국가의 백년지대계를 앞둔 교육정책이 현장에 뿌려지고 준비를 하면서다. 늘봄학교는 발표와 동시에 커다란 반발을 불러일으킨 정책 중 하나다. 아이를 학교에서 오랜 시간 돌볼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을 마련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까닭이다. 부모가 정시에 퇴근해 가정에서 아이와 함께 보내는 저녁 있는 삶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끝내 일부의 의견으로 남았다. 수많은 논란과 비판 속에 늘봄학교는 2학기 전면시행됐다. 대전에선 2023년 시범운영을 하면서 그나마 진통이 덜하다. 시범운영 과정서 이미 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덕분이기도 하다.
2024년 한 해를 두 달여 앞두고 교육현장은 여전히 날이 서 있다. 교육계 뜨거운 감자 중 하나인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이하 AIDT)도 그 이유 중 하나다. 정부가 늘봄정책을 앞당겨 전면시행하겠다고 했을 때와 묘하게 닮았다. 교사들이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설익은 논의다. 현장이 우려하는 지점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구체적인 내용 없이 그저 "내실 있게 운영하겠다", "현장이 의견을 듣겠다"는 동문서답, 임기응변식 대답이 전부다. 논의와 숙의를 거친 정책 추진은 더디고 느리지만 그만한 가치가 분명 있을 것이다. 교육정책을 만들고 추진하는 이들이 그것을 모를 리 없을 텐데 도무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한둘이 아니다.
AIDT에 대한 우려는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등장했다. 고민정 의원은 국정감사와 그에 앞서 전국 시도교육감에게 AIDT 추진에 대한 입장을 물었다. 막대한 예산을 어떻게 부담할 것인지에 대해 합의를 이루지 못했으며 당장 아이들을 가르칠 교사들의 반발과 우려는 어떻게 잠재울 것인지에 대한 걱정이 역력했다. 당장 교사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연수가 전국 각지서 진행되고 있지만 정작 AIDT의 실물은 나오지도 못했다. 상황이 이러한데 세계 최초 AIDT 타이틀에만 매몰된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온다.
AIDT의 효과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갈린다. AI와의 공존을 피할 수 없는 시대 AI를 잘 알아야 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정부가 도입하려는 AIDT가 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선 분분하다. 이런 마당에 속도전이 능사는 아닐 것이다. 교육현장은 시련과 시행착오를 거쳐 단단해지고 있다. 속도보단 방향이다. 임효인 사회과학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