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예술가의 혼과 존중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예술가의 혼과 존중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10-25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가 있다. 휴식, 재충전이 되기도 하고, 견문과 미적 즐거움, 지식과 지혜를 얻기도 하기 때문이다. 해외로 떠나는 사람도 많다. 가는 곳마다 한국인을 만날 수 있을 정도다. 여건에 맞추어 마음 가는 대로 여행하는 것이 문제 될 것은 없다. 다만, 적당히 안배하여 국내여행도 하면 어떨까 생각해 본다. 기초단체 별로 찾아보길 권장한 적도 있다. 우리나라 국토 면적이 넓지 않지만, 그렇다고 좁지도 않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이 말해주듯 오히려 모르는 것이 많다. 더구나 규모가 확대되다보니 가보았던 곳도 새롭게 만날 수 있다.

수 삼년 전에 2박 3일로 전남 영암에 다녀 온 일이 있다. 월출산 등산은 물론, 여러 곳을 살펴보았지만, 시간이 턱없이 부족했다. 그 중 인상적이었던 한 곳이 월출산기찬랜드이다. 가야금산조테마공원, 한국트로트가요센터, 조훈현바둑기념관, 곤충박물관 등과 함께 각종 유락시설이 있었다.

한옥으로 지어진 가야금산조기념관도 이색적이고 아름다웠다. 전시장 구성이 잘 되어있는 탓이겠지만, 지금도 기억이 새록새록 인다. 산조(散調)는 기악 독주곡이다. 3~6개의 장단으로 구성된다. 영암 출신의 거문고 명인 김창조(金昌祖 1856 ~ 1919)선생이 1883년 처음으로 가야금 산조를 창제하였다. 산조음악의 효시가 된다. 이어서 거문고산조 · 대금산조 · 해금산조(奚琴散調) 그리고 1950년경 아쟁산조(牙箏散調) 순으로 등장한다. 월출산을 오르며 물의 흐름이 빨라지듯, 진양조로 시작하여 단모리로 끝난다. 진양조 · 중모리 · 중중모리 자진모리가 주로 쓰이지만, 산조의 종류나 바디에 따라 엇모리 · 굿거리 · 휘모리 · 단모리 등의 장단이 가감되기도 한다. 자연과의 동화, 화합이기도 하고, 가사 없는 판소리라 부르기도 한다. 전시관에는 가야금 및 산조음악, 김창조선생의 손녀 김죽파(金竹坡, 1978 중요무현문화재,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예능보유자), 현재의 국가무형유산 양승희(梁勝姬, 2006 중요무형문화재 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보유자) 명인도 소개되어 있다.

양승희 명인은 1948년생이다. 어머니가 무용이 좋아 당대의 명무였던 최승희(崔承喜, 1911~1969)를 흠모한 나머지 이름도 똑같이 지어주었다 한다. 5살 때부터 무용과 국악을 공부하였으며 가야금도 배우게 된다. 음악적 재능이 탁월하여 서울대 국악과로 진학한다. 훌륭한 교수를 만났을까? 지도교수가 자신의 수준을 넘어섰다며 김죽파 선생을 소개한다. 1970년 김죽파 선생을 만나 20년 동안 사사 받는다. 심지어 김죽파 명인은 양승희의 모친을 만나 딸을 결혼 시키지 말라고 요청한다. 뛰어난 예술가가 마음껏 연주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싶은 탓이었으리라. 결혼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도 손해지만 국가적 손실이라 주장한다. 그런 노력에도 불구, 그만 남자 친구가 생기고 만다. 결혼하게 되자 다시 시부모를 찾아간다. 연주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뒷바라지 해 달라 설득한다. 시부모 역시, 우리는 아들 하나 얻으면 그만이라며 여러모로 배려하고 돕는다. 심지어 해산하고 일주일 만에 선생에게 달려가 가야금 연주에 매달린다. 모두가 인정하는 실력가이지만, 정작 본인은 성에 차지 않는다. 득음이 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그때부터 새로이 판소리 공부를 10여 년 하고 나서야 비로소 미적 쾌감, 참맛을 느낄 수 있었다 한다.



학술적 연구도 게을리 하지 않아 서울대 대학원을 거쳐 성균관대학교에서 예술철학박사학위를 받는다. 지난해 방송에서 공자와 장자의 예술사상에 대해 "공자의 예술사상은 위인생이예술(爲人生而藝術)로 인생을 위한 예술이다. 예술을 하는 것은 인간이 인간답게 살기위한 것이요, 규범을 찾고 모범적 인생 영위를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장자는 위예술이예술(爲藝術而藝術)로 진정한 예술의 경지에 이르려면 예술만을 위한 예술이 중요하다. 예술이 신의 경지, 지고지순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고 했다며, 죽파 선생의 가르침이 장자의 예술론에 부합한다고 말한다.

예술가의 각고 노력이 어디 양승희 명인뿐이랴. 어느 것 하나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어지는 것은 없다. 부단한 열정의 산물로 예술가가 탄생한다. 그런 예술가에게 기생, 기생놀이라고 폄하해 한동안 떠들썩했다. 물론, 기생이 나쁜 말은 아니다. 본래 전문 종합예술인에 대한 호칭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뒤 문맥으로 보아 접대부로 부른 것이요, 비아냥거린 것이 분명하다. 설렁설렁 살아온 백수건달의 눈에 다른 사람의 피땀 어린 삶이 보일 리 없다. 세상 어느 것도 혼과 땀 없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서로 존중받아야 하고 존중해야하는 이유다. 존중이 없는 사회는 피폐해진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