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는 계절을 세분한 것으로, 대략 15일 간격으로 나타낸 달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절기는 태양의 하늘의 위치, 즉 황도 위치를 나타내는 황경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24절기의 날짜는 해마다 양력으로는 거의 같게 되지만 음력으로는 조금씩 달라집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달을 중심으로 하는 음력을 사용하면서도 태양을 중심으로 하는 24절기를 두어 사계절을 구분하고 농사에 적절한 절기를 알려 주는 지혜가 있었습니다.
24절기는 음력을 사용하던 시절, 음력달력 속에 들어있는 양력입니다. 음력은 4년마다 한 달의 윤달이 있기에 같은 날이라도 윤년 때마다 한 달 차이가 나지만. 양력은 4년 마다 하루의 윤일이 있어서 윤년이라도 하루의 차이 박에 나지 않습니다.
24절기는 양력으로는 매년 같은 날로 정해지고, 차이가 나도 하루 박에 나지 않습니다.
그러니 24절기는 음력달력 속에 들어있는 양력입니다. 우리 조상님들은 계절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알기 위해 '24절기(節氣)'를 사용했습니다.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겨울을 의미하는 입동(立冬)'
'입동(立冬)'은 24절기 중 19번째 날로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절기로 2024년의 '입동'은 11월 7일이며 '입동(立冬)'이라는 말은 '겨울(冬)이 들어서다(立)'라는 뜻입니다.
이즈음 단풍도 저물고 낙엽이 떨어지면서 나무들이 헐벗기 시작힙니다. 예전에는 '입동' 무렵에 수확한 배추와 무로 김장을 담그곤 했는데, 점차 김장철이 늦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농가에서는 입동 전후하여 한 해 농사에 힘쓴 소와 외양간, 곳간에 고사를 지내기도 했는데,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만들고 소에게도 고사 음식을 먹였으며 이웃간에 정을 나누었습니다. 전래하는 미풍양속에는 '입동'에 어른들을 모시고 음식을 대접하는 치계미(雉鷄米)라는 풍습도 있었습니다.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양로잔치였는데, '치계미'라는 말은 꿩, 닭, 쌀을 뜻하며 마을을 다스리는 사또를 대접하기 위해 꿩이나 닭, 쌀을 추렴하여 거두는 풍습에서 유래한 것으로, 어른들을 사또와 같이 대접한다는 효도의 뜻이 담긴 풍속이었습니다.
'입동' 무렵의 별미로는 추어탕이 있는데, 추수가 끝난 논 도랑에서 겨울잠을 위해 땅속에 파고들어간 미꾸라지를 잡아 끓인 것으로, 치계미를 낼 만한 사정이 아닌 집에서는 추어탕을 끓여 대접하기도 했습니다.
'입동(立冬)'은 1년 24절기 중 19번째 절기로, 이후로 11월엔 소설. 12월엔 대설. 동지. 1월엔 소한. 대한, 으로 이어져서 일년 24절기(節氣)는 끝이 납니다.
'입동(立冬)'은 겨울 절기의 시작으로 동면하는 동물들은 땅속에 굴을 파고 숨어듭니다. '입동(立冬)'날 추우면 그해 겨울은 몹시 춥다고 합니다. '입동(立冬)'과 관련된 속담으로는 '입동(立冬)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라는 말로 음식 중 제일 중요한 것이 김장이었습니다.
'입동'절기에 농경사회에서는 농사를 마무리하고 겨울준비를 하는 시기였습니다. 자연의 순환 속에서 이에 맞춰 생활 방식도 비꾸었습니다.
겨울철에 먹을 음식을 준비하고 겨울 날 준비를 합니다. ~샬롬~
이갑선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