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4일 발표한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 조사결과에 따르면, 11월 BSI 전망치는 전월 대비 4.4포인트 하락한 91.8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6.3포인트 하락 이후로 13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 |
/한경협 제공 |
한경협 관계자는 "BSI 전망치는 지난 2022년 4월 이후 32개월 연속 기준선 100을 밑돌며 기업경기심리 부진이 장기화하는 양상"이라고 전했다.
업종별로 구분해 봐도 제조업 91.1, 비제조업 92.5를 기록하며 다음달 경기 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기준선을 밑돈 것은 제조업은 8개월 연속, 비제조업은 4개월 연속이다.
제조업 세부 업종별로 보면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105)가 유일하게 호조 전망을 보였다. 기준선에 걸친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 의약품, 전자 및 통신장비를 제외한 나머지 6개 업종은 모두 업황 부진이 전망됐다.
한경협은 반도체 관련 부품이 포함된 일반·정밀기계 및 장비, 전자 및 통신장비가 기준선 이상으로 나타나 관련 업종 수출 증가세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자동차, 석유화학, 식음료 등 대부분 업종은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내수 위축의 영향으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 |
/한경협 제공 |
한경협 관계자는 "계절적 수요의 수혜가 전망되는 전기·가스를 제외하면 서비스업 전체적으로 내수 침체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밖에 조사 부문별 BSI는 수출 98.4, 고용 95.8, 자금 사정 95.5, 채산성 94.2, 내수 93.9, 투자 90.7, 재고 106.1 등으로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재고가 기준선 100을 넘으면 재고 과잉을 의미한다.
수출과 내수의 격차는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달에 이어 수출은 소폭 상승한 반면 내수는 하락했다. 투자는 전체 7개 조사 부문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기업들의 투자심리 부진을 드러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은행의 정책금리 조정에도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지배구조 규제강화 법안 발의 등으로 기업경영의 불확실성이 크게 가중되고 있다"며 "기업들의 심리 진작을 위해 지배구조 규제 입법을 지양하고,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경협이 10월 15~17일 국내 매출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