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박란희·김현미 의원, 연이어 최민호 시 정부 비판

  • 정치/행정
  • 세종

민주당 박란희·김현미 의원, 연이어 최민호 시 정부 비판

10월 23일 본회의 5분 발언 통해 '최 시장의 재정 인식' 조목조목 반박
박 의원, "왜곡된 현실로 예산 편성 및 정책 결정" 우려 제기
김 의원, 정원도시 앞서 현수막 정비 우선 강조...시민 피로감, 안전 위협

  • 승인 2024-10-23 16:37
  • 수정 2024-10-23 16:49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박김
박란희 의원(좌)과 김현미 의원(우). 사진=시의회 제공.
더불어민주당 박란희(다정동)·김현미(소담동) 세종시의원이 10월 23일 다시금 세종시정을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박란희 의원은 이날 오전 10시 보람동 시의회청사에서 열린 제93회 임시회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명확한 현실 인식을 통한 건전 재정 운영'을 촉구하면서, 최민호 시장의 10월 17일 기자회견 발언에 대해 반박했다.

최 시장은 이날 "2022년 7월 임기 초 (전임 이춘희 시 정부 시절) 3700억 원의 부채를 안고 출발했고, 채무 부담 비율은 전국 최고 수준이었다. 그래서 그 해 300억 원을 상환했다. 그동안 이 부분에 대한 언급을 자제해왔다"라며 "이후 긴축 재정과 새로운 수입원 개발이란 2가지 방법을 모색해왔다. 중앙과 지방 공히 재정난을 맞이했고 다른 지역이 거액의 지방채를 발행할 때도 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이제는 지방채 발행을 할 여력이 됐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이렇게 해서라도 국비 77억 원을 확보한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를 되살리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셈이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당시 기자회견 영상을 보여주면서, "300억 원 채무를 갚은 2022년 말 채무 비율 순위도 전국 6위로 변동이 없었다. 기초단체를 포함한 통계는 2위에서 1위로 상향되었을 뿐"이라며 "2021년에도 6위였고, 2023년에는 통합안정화기금의 대량 유입에 따른 예산 증가로 채무 비율이 1.35% 감소했으나 2024년 채무 잔액이 382억 원 정도 늘었다. 2023년의 전국 통계는 아직 발표도 되지 않았다. 어떤 기준으로 "중간 이하로 개선됐다"는 말씀인지 근거를 알고 싶다"고 되물었다. 정치적 성과를 포장하거나 통계치를 임의로 예측 혹은 왜곡했다는 지적도 했다.

채무
박 의원은 최 시장의 재정 현주소 발언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자료를 제시했다. 사진=박란희 의원실 제공.
지방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원금과 이자를 상환해야 하는 통합안정화기금의 예수금이 3968억 원까지 증가한 사실도 환기했다. 결국 세종시는 현재 지방채 4065억 원과 통합안정화기금의 예수금 3968억 원까지 총 8천억 이상의 빚을 갚아야 한다는 엄연한 현주소를 제시했다. 잔고는 텅텅 비어 있고 신규사업은 엄두도 낼 수 없는 형편이란 상반된 인식인 셈이다. 가로수 관련 예산이 올해에 이어 2025년에도 대폭 삭감될 기조로 기초관리도 어렵다는 단면도 공개했다.

박란희 의원은 "정말 세종시의 재정이 정말 안정화됐습니까. 왜곡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예산을 편성하고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아닌지 심히 우려스럽다"라며며 "지난해 11월 행복도시 내 공공건축물 건립비가 전액 국비 사업에서 건립비의 50%를 세종시가 부담해야 하는 구조로 변경됐다. 이는 최소 1500억에 달하는 예산을 시비로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더 큰 문제는 앞으로 재정 악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란 점에서 찾았다. 꿈에서 깨어나 현실을 직시하고 당면한 재정난을 함께 헤쳐 나가야 한다는 방향성도 제시했다.

김현미 의원은 같은 날 불법 현수막 난립의 문제를 거론하며, "지금 세종시는 먼 미래의 정원보다 가까운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주장했다. 불법 현수막이 도시 경관을 저해하고 시민들에게 피로감을 주며, 아이들이 어른들의 정쟁에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는 인식에서다.

정당이나 지자체가 무분별한 현수막 게시로 시각 공해를 가져오고 있다는 비판도 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힘 모두에게 해당되는 사안이란 자성의 입장도 담았다.

현수막
국힘과 민주당을 포함한 정치권 현수막부터 무분별한 선전선동의 현수막들이 도심 한복판을 도배하면서, 시민들의 정치 피로감과 학생들의 불안전 통학을 확산하고 있다. 사진=김현미 의원실 제공.
김 의원은 "세종 국회의사당 건립이나 세종지방법원 설치 환영 현수막 같은 경우나 명절 인사 덕담 내용은 그래도 봐 줄만 하지만 상대당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내용의 현수막은 공해와 같아 소속 정당의 잘잘못을 따지기 전에 보는 것부터 눈살이 찌푸려지게 한다"라며 "가로수 관리를 얘기하면서 뿌리 채 휘청이게 만드는 현수막을 방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철저한 단속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어린이 통학로에 모든 현수막 게시 강력 제재 ▲음해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현수막 등으로 인한 시각공해 차단 ▲정당 현수막 모두를 지정된 장소에 게시토록 설득 등을 제안했다.

김현미 의원은 "지금 세종시는 먼 미래의 정원보다 가까운 도시미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다. 그 첫걸음은 불법 현수막을 정비하고, 아이들에게 깨끗한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대선 정국 요동… 충청의 정국 주도로 '중도의 꿈' 실현
  2. "갈등·분열의 시대, 신문의 역할과 책임 더욱 무거워"
  3. [사설] 6·3 대선, '좋은 대통령' 뽑는 축제이길 바란다
  4. 尹정권 교육정책 안갯속… "현장의견 반영해 재검토 해야"
  5. "재미로 그랬다"…무면허 난폭운전하다 사람 친 10대 일당 검거
  1. [사설] 고삐 풀린 물가, 민생 경제 챙겨야
  2. '조기 대선' 겨냥, 각 지자체 공약 선점 나서… 대전시도 대선 대비 총력
  3. [인터뷰]이환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대전시지회 지회장
  4.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정차 집중 단속
  5. [S석 한컷]두 말 필요없는 완벽한 패배 K리그1 7R 대전 VS 전북

헤드라인 뉴스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불붙는 조기대선, 충청 초반 정국 중심 급부상

6·3 조기대선 정국 초반, 충청발(發) 매머드 이슈가 잇따라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대선링을 흔들고 있다. 지역 대권 주자 배출과 결집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고, 행정수도 개헌 등 지역 주요 현안이 대선판의 주된 이슈로 떠오르면서다. 역대 대선 때마다 정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던 소극적인 스탠스에서 벗어나, 강한 정치력과 응집력을 바탕으로 충청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정부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차기 대통령 선거일을 6월 3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정식 후보자 등록일은 5월 11일,..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대통령실 이전과 행정수도론'...이번 대선에도 선거용 의제?

2025년 6월 3일 대선 확정 흐름 아래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 이슈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 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한다. 결국 제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관건은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겠는가로 모아진다.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로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이장우 "충청기반 대통령 나와야…10일 시도지사 회동"

국민의힘 이장우 대전시장은 8일 "충청을 기반으로 한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이날 시청에서 확대간부회의를 가진 뒤 중도일보와 만나 "충청권은 홀대론에서 벗어나 정국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충청권에 대선) 후보자가 없고, 내가 나가는 게 시민들과 충청권을 위한 일이라면 해야 할 일"이라며 "다만, 김태흠 (충남)지사가 출마한다면 당연히 김 지사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보탰다. 조기대선이 현실화되고 당내 경선을 코 앞에 둔 시점에서 충청 보수진영 대표 잠룡으로 분류되는 이 시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청렴딱지로 부패를 뒤집어라’

  •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세월호 참사 11주기 대전 기억다짐주간 선포 기자회견

  •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조기 대선 6월 3일 잠정 확정…투표함 점검

  • 바야흐로 봄 바야흐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