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장 |
한국의 지역축제는 지방자치시대를 시작한 역사와 같이한다. 그러한 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자신의 치적 또는 지역의 부흥을 위해 지역을 대표하는 축제를 개최하고 새롭게 만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역축제가 지방자치단체장이 새롭게 선출될 때마다 증가해, 200개가 넘는 지자체의 축제 숫자가 2000여 개를 넘었었다. 더 나아가 지역 내 소규모 축제까지 합치면 비공식적으로 4000여 개가 넘었던 적도 있다는 데이터가 있다. 이는 문화관광부에서 지역축제에 대한 지원을 위해 평가하여 등급을 지정하는 부분도 한몫했다. 지자체의 장들은 지역의 대표 축제를 문체부 우수축제로 만들기 위해 많은 예산을 집행해 왔으나, 이러한 일들이 축제의 질적 성장을 끌어내는 데에는 실패하다 보니 예산만 낭비하는 사례로 많이 언급되어 왔다. 또한 지자체장이 바뀔 때마다 축제의 존폐위기를 맞이하는 상황도 벌어지면서, 모든 축제가 그렇진 않지만, 일부 지역축제는 지자체장의 의지와 판단, 정책적 선택에 의해 많은 부분이 결정되는 모습으로 비춰졌다. 여기까지가 지역축제에 대한 단상일 것이다.
코로나를 겪으며, 지역축제는 전환점을 맞이했고, 축제 개최가 취소되면서 많은 축제가 없어지기도 하고, 재탄생되기도 했다. 특히 지역 내 특성을 감안한 축제로 성공적인고 지속적인 축제를 개최하는 축제는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살아남아 현재에도 높은 성과를 내고 있다. 계룡시의 군(軍) 문화축제, 보령의 머드축제, 금산의 인삼축제, 논산의 딸기, 강경젖갈축제, 청양의 고추·구기자축제가 그럴 것이다.
이렇게 지역의 특성과 지역의 특산물을 잘 반영한 축제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성장하고 있고, 성공한 축제들은 그 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엑스포 및 박람회를 개최하여 큰 호응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경주하여 왔다.
대전시의 축제는 한밭문화제가 폐지되면서, 축제의 역사 및 전통이 매우 짧다. 한 때 물축제도 개최된 적이 있고, 와인페스티벌부터 사이언스페스티벌까지 다양한 축제들이 선보여 왔었다. 그러나 대전지역 대부분의 축제가 인지도나 축제 성과에서는 높은 점수를 얻지 못했다. 예산 부문도 그러하겠지만, 축제에 대한 필요성과 성과에 대해 누구도 높게 보지 않아서일 것이다.
그러나 '대전 0시 축제'와 '대전 빵 축제'의 성장은 시쳇말로 대전시도 축제의 맛을 본 중요한 계기가 됐다. 많은 인파와 방문객이 찾으면서 이른바 성공적인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축제는 사람이 일단 많아야 하는데 이런 부분에 두각을 보이면서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축제에 왔던 방문객을 지속적으로 방문시키기 위해서는 만족도와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야 하고, 이런 부분에 대한 고민은 성공한 축제에서도 갖고 있는 숙제다.
대전의 지역구별로도 다채로운 축제가 이어지고 있다. 효문화뿌리축제, 아트페스티벌, 온천문화제, 물빛축제, 동구동락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개최되고 있으며, 조금씩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기존의 작은 축제들의 문제는 지원금 없이는 축제 개최를 상상하지 못하는게 현실이었다. 몇 해 전부터 대전 동구에서는 마을 축제 육성을 위해 지원을 하고 있다. 10여 개의 마을축제를 지역주민들이 기획하고, 지역주민과 기업이 비용을 일부 모아 축제를 만들어 나가는 모습이 일본의 성공한 축제를 연상케 한다. 한국의 지역축제는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변화되고 있다.
축제를 예산 낭비라고 많이 지적한다. 그 비판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선택을 통한 질적 성장 가능한 축제를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고, 지역주민 중심의 축제개최 비용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한 숙제일 것이다.
딱 30여 년 전 지방자치 시대와 같이 시작한 축제도 성장하는데, 지방자치제도 이제 축제를 포함한 다양한 영역과 정책에서의 성과를 기대해 본다.
/박종진 여가공간연구소 소장(관광학 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