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환 대표 |
대부분의 부모라면, 딸이 다치지 않았나 확인하고, 바닥에 떨어진 그릇 조각에 다치지 않도록 빨리 치울 것이다. 만약 화가 난 모습으로 "그 나이에 설거지 하나 못하고 비싼 그릇을 깨냐?" 나무란다면 어떤 상황이 될까?
A대리는 거래처의 제품 구매 수량 100개를 1000개로 잘못 인식했다. 생산팀에 업무 연락으로 1000개를 2주 안에 생산해 달라고 발주 요청을 했다. 생산 현장은 1000개를 생산하기 위해 원자재 구매부터 철야 작업을 해 기일 내 완료하고 A대리의 거래처로 제품을 발송했다. 황당한 상황은 A대리의 실수임을 알게 되었다. A대리는 잘못을 인정하고 사직서를 상사에게 제출했다.
상사라면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누구나 살며 한, 두 번의 실수를 하기도 하고 할 수 있다. '실수에 대해 어떻게 조치하며, 무슨 교훈을 얻었냐?'가 더 중요하다. 실수한 사람에게 질책하고 책임을 추궁해 불이익을 주고, 심한 경우 퇴직까지 하게 하면 어떻게 될까? 이를 지켜본 많은 직원은 어떤 생각을 하고 행동할까?
불이익을 받은 직원은 반성하며 다시는 그런 실수를 하지 않도록 노력할까? 실수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우선 아닐까? 다시는 이런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수한 사람이 반성하고, 향후 더 많은 성과를 창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A기업의 임직원은 도전적 일을 하지 않는다. 자신의 일이 아니면 그 누구도 하려고 하지 않는다. 타 부서의 업무 협조에 최대한 응하지 않는다. CEO도 모든 문서에 자신의 서명을 남기지 않는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 사소한 실수도 용인하지 않고 엄한 질책과 처벌이 있기 때문 아닐까? 누가 인정과 칭찬을 받지 못하고, 실패하면 큰 처벌을 받는데 도전적인 일, 업무 협조를 하겠는가? 리더라면 개인의 실수에 대해 관심과 애정으로 잃어버린 자신감을 회복하고, 더 큰 성장과 성과를 내도록 좀 더 성숙한 모습으로 이끌어야 하지 않겠는가?
/홍석환 대표(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