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는 '기초+광역', 교부세는 '광역 몫'만...세종시 아이러니

  • 정치/행정
  • 세종

업무는 '기초+광역', 교부세는 '광역 몫'만...세종시 아이러니

행안부의 불합리한 보통교부세 산정 방식...수년 간 개선 요구 제자리
구청이나 시군구 일 같이 하고도 정부 지원 '광역 몫'만 받아
의정회, 10월 21일 김종민 의원과 간담회...공감대 확산, 개선 노력 지속

  • 승인 2024-10-21 15:08
  • 수정 2024-10-21 15:13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1021_145602815
의정회가 현재 보통교부세 산정의 문제점으로 제시한 자료. 사진=의정회 제공.
세종특별자치시가 중앙정부의 불합리한 보통교부세 산정 방식으로 인한 불이익 구조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국 16개 시·도와 같이 구청이나 시군구를 두지 않는 '단층제'의 한계가 이 같은 모순점을 양산해왔다. 광역과 기초 사무를 전부 수행하는데, 행정 비용은 분담이 아닌 전담으로 이뤄지고 있어서다. 예컨대 2022년 사회복지 분야 세출 예산 4379억 원의 경우, 28%인 광역시 비율만 책임지면 될 것을 기초지자체 비율(15%)까지 함께 부담했다.

세종시 의정회(회장 황순덕 전 연기군의회 의장)는 10월 21일 이 같은 분석 내용을 담은 언론 자료를 배포했다. 이날 오후 2시 대평동 복컴 회의실에서 열린 김종민 국회의원과 간담회를 통해서다.

의정회는 2022년부터 합리적인 개선 요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통교부세 산정 방식에는 변화가 없다는 문제 인식을 드러냈다. 실제 세종시와 지역 정치권, 행정안전부, 법제처 등의 관계기관 대응에 나서며 목놓아 호소를 해왔다.



의정회는 다시 2022년 기준 지방세 8605억 원을 토대로 '왜 개선이 필요한지' 근거를 들어 보였다. 광역시세(취득세와 레저세, 지방소비세, 주민세, 자동차세, 담배소비세, 지방소득세 등) 7218억 원과 자치구세(재산세, 등록면허세) 1387억 원을 더한 수치인데, 보통교부세는 유독 광역시 분과 자치구 분으로 나누지 않은 채 산정하고 있다는 지적을 내놨다.

다시 말해 기준재정 수요액 산정은 광역사무 수행분만 적용하고, 수입액 산정은 광역시와 자치구를 전부 적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는 재정부족액이 실제보다 적은 것으로 계산되고, 결국 보통교부세가 다른 지역으로 흘러 들어간 원인이 되고 있다. 2024년 미교부 보통교부세는 3300억 원으로 파악했다. 최근 5년 기준으론 1조 4400억 원이다.

올해 1월 1일 기준 기초사무 수행분으로 보면, 제주도가 1조 3165억 원, 세종시가 182억 원으로 72배 차이가 나는 수치도 또 하나의 단면이다. 제주와 세종의 인구수 차이가 1.7배인 점을 감안할 때, 아연실색할 수준이다.

KakaoTalk_20241021_145751512_03
김종민 국회의원이 이날 의정회 간담회에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쏟아내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의정회 관계자는 "보통교부세의 불합리한 산정은 세종시민의 평등권과 행복추구권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있고, 현재의 세종시 재정난까지 피해를 확대하고 있다"라며 "2020년 이전에는 신도시 특성상 아파트 취득세란 한시적 특수로 재정 상황이 좋아 보였던 것"이라고 개선을 촉구했다.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사회복지비의 단위 비용에서도 다른 지역과 큰 차이를 보였다. 2024년 기준 ▲1인당 기초생활보장비 : 광주와 대전 70만 원 이상, 세종 38만 원 ▲노인 복지비 : 광주와 대전 129만 원 이상, 세종 98만 원 ▲아동 복지비 : 광주와 대전 19만 8000원, 세종 10만 5000원 ▲장애인 복지비 : 광주와 대전 220만 원, 세종 139만 원 ▲보건사회복지비 : 광주와 대전 14만 원 이상, 세종 10만 2000원 등으로 심각한 상황을 드러냈다.

김종민(세종 갑) 국회의원은 "세종시가 받아야 할 보통교부세를 못 받고 잇다. 시청 공직자가 기초와 광역 2가지 업무를 같이 하면서, 광역 몫만 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행정안전부의 산정 방식 과정에서 이견들이 있다. 정교하게 다듬어서 2000억 원 이상 예산을 추가 확보해야 한다. 그래야 행정수도와 문화도시, 국제도시로 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지원 사격했다.

한편, 세종시는 올 상반기 이와 관련한 대응 TF팀을 구축했으나 아직까지 실질적인 성과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번주 대전 벚꽃 본격 개화…벚꽃 명소는?
  2. [尹 파면] 대통령실 세종 완전이전 당위성 커졌다
  3. [속보] 4·2재보선 충남도의원 당진 제2선거구 국힘 이해선 후보 당선
  4. '미니 지선' 4·2 재·보궐, 탄핵정국 충청 바닥민심 '가늠자'
  5. [속보] 4·2재보선 대전시의원 민주당 방진영 당선…득표율 47.17%
  1. [사설] 학교 '교실 CCTV 설치법' 신중해야
  2. 세종시 문화관광재단-홍익대 맞손...10대 관광코스 만든다
  3. 올해 글로컬대학 마지막 10곳 지정… 지역대 사활 건 도전
  4. 대전 중1 온라인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재시험 "정상 종료"… 2주 전 오류 원인은 미궁
  5. [사설] 광역형 비자 운영, 더 나은 방안도 찾길

헤드라인 뉴스


윤석열 대통령 전격 파면… 헌재 8명 만장일치 `인용`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슈] 청소년 비행 잡고 불법촬영 막아주는 대전자치경찰위 '과학치안'

"이곳에서 술을 마시면 안 됩니다", "담배 피우지 마세요" 인적이 드문 골목이나 공원에서 청소년들이 음주와 흡연을 하며 비행을 저지를 때 인공지능(AI)이 부모님을 대신해 "하지 말라"고 훈계한다면 어떨까. 실제로 대전 대덕구 중리동의 쌍청근린공원 일대에는 어른 대신 청소년들의 일탈과 비행을 막는 스마트 AI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다. 영상카메라라는 '눈'을 통해 AI가 담배를 피우는 동작과 술병 형태, 음주하는 행위를 감지해 그만할 때까지 경고 음성을 내뱉는 것이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대전자치경찰위원회가 과학기술업..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결국 폐업'…1분기 충청권 건설업 폐업신고 17건

올해 1분기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가 16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이후 같은 분기 대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충청권 건설업체 폐업 신고 건수는 17곳으로 집계됐다.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160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4년 1분기(134건)보다 약 12% 늘어난 수준이다. 1분기 기준으로 비교하면, 2020년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최근 5년간 1분기 폐업 신고 건수는 ▲2024년 134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기뻐하는 시민들

  •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윤석열을 만장일치로 파면하라’

  •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친구들과 즐거운 숲 체험

  • 한산한 투표소 한산한 투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