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현 교수 |
제91회 대회인 2010년 이후로만 순위를 따져 봐도, 10위(2014년), 11위(2016년), 12위(2013년, 2017년), 13위(2010년, 2011년, 2018년), 14위(2015년, 2019년, 2021년, 2023년), 15위(2022년, 2012년)였고, 최근 5년간의 순위만 따져 봐도 2023년부터 2019년까지(14위-15위-14위-미개최-14위)의 기록 중 역대급 성적이다.
6개월 전인 지난 4월 17일 대전에선 근대5종 운동부(대전시청)와 카누·역도 운동부(대전시 체육회) 창단식이 있었다. 이 창단식은 그동안 이승찬 대전체육회장이 학교, 직장팀 연계 육성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결과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대전시가 시·구·기업 등에 운동경기부 종목이 없어 지역 출신의 우수한 체육 인재들이 다른 지역으로 유출되어온 사태를 해소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대전시와 대전시체육회는 지난해 9월 자치구, 대학, 기업들과 '전문체육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으며, 대전시 체육의 문제인 적은 팀 수를 해결하고자 정말 많은 노력을 했다. 이번 전국체전에서 8년 만에 11위를 달성한 성과 속에는 이렇게 창단한 실업팀들의 활약으로 무려 3000점 이상을 획득한 실적이 큰 도움이 됐다.
고무적인 성과에 이승찬 대전시체육회장은 "대전 체육의 위상을 드높여 주신 선수단을 비롯한 체육 가족분들에게 진심 어린 감사의 인사들 드린다"며 "대전체육회는 앞으로도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런데 약간 아쉬운 부분이 있다. 첫번째는 선수단 포상에 대한 것이고, 둘째는 전국체전 개최에 대한 이야기다. 올림픽 등 주요 대회에선 많게는 몇억 원에서 몇천만 원의 포상금과 연금까지 그야말로 행운과 남은 인생을 보장받게 된다. 그런데 대전시를 대표하여 전국체전에 다녀온 선수들에게 주어지는 포상금은 현실과 거리가 멀다. 대전시의회 의원들은 물론 대전시에서도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2022년 9월 이장우 대전시장은 대전체육 정책간담회 자리에서 "대전 엘리트 체육은 전국체전을 보면 10등 밖인데 대전 출신 선수들이 타 시도에서 메달을 따는 일이 없도록 영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대전 출신 선수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지시했다.
높이뛰기 국가대표인 우상혁은 대전 대덕구에서 태어나 중리초등학교와 송촌중학교, 충남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곧바로 서천군청에 입단했으며, 국군체육부대(상무)에서 군 생활을 하다 최근 전역했다.
국가대표 배드민턴 순수로 활약 중인 공희용(전북은행) 선수는 대전에서 태어나 자양초와 법동중학교, 대성여고를 졸업 후 2020 도쿄올림픽에 여자복식에 출전해 동메달을 따냈다. 과거 이 시장은 이 두 선수를 직접 거명하면서 "대전 출신 선수들이 대전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데려와야 한다"면서 거듭 의지를 드러냈다.
스타 선수는 물론 지역의 유망 인재들을 대전이 품고 육성하기 위해선 선수단 포상과 복지에 대한 현실적인 접근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대회 개최다. 서울에서만 개최되던 전국제전은 국토균형발전을 모토로 1957년부터 지방 순회 개최 원칙이 도입됐다. 그래서 개최된 2024년까지 지역별로 개최된 전국체전의 횟수를 살펴보면(복수의 지역에서 분산 개최된 1986년과 1988년 대회는 제외됨), 서울 13회, 경남 7회, 경북·전북 6회, 경기·전남·충남 4회, 충북·강원·대구·부산·인천·광주·제주 3회, 대전·울산은 2회에 그친다. 전국체전 유치에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다.
결국은 대전시의 체육발전을 뒷받침하는 전문체육이 더욱 발전해야 한다. 또한 대전체육계에 많은 스포츠 스타와 영웅들이 탄생하도록 대전시와 대전시체육회, 5개 구청과 기업들이 지속적인 관심과 많은 것들이 지원되길 기대해 본다.
/정문현 충남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