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송은애 시인, 마침내 일어섰다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송은애 시인, 마침내 일어섰다

민순혜/수필가

  • 승인 2024-10-1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KakaoTalk_20241014_212647377_06
10월 11일 오후, 송은애 시인의 산문집 『手 BOOK』 출판기념회가 서구 구봉로 <드림허브-다함께 공간>에서 있었다. 시인이 회장으로 있는 서구문학 9집과 함께였다. 手 Book(수북)이란, 만든 말로 월간 「대전예술」 지상갤러리 합본이다.

시인이 대전예술 임기 6년 동안 연재했던 그 기록을 모아서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는 234권의 책이 손안에 들어와 읽기 좋고 수북하게 쌓여 있다는 중의적인 의미로 표지 그림도 정조가 선호했던 '책가도'를 고명성 화백이 유화로 그려줬다.

시인이 수북을 출간하게 된 동기는 자신만의 좋은 기록물(창작물)로 월간지에 연재하고 사라질까 봐 엮으려고 준비했다고 한다. 그런데 마침 2024년 창작지원금을 받게 되어 망설임 없이 출간한 것이다. 출판기념회가 진행되는 동안 나는 만감이 교차했다. 그동안 시인의 아픔을 알기에 말이다.

시인은 지난해 12월 12일부터 동네 병원에 다니다가, 급기야 대학병원 응급실에 실려 가 올해 5월 1일 자로 퇴원했다. 정확히 5개월의 대장정이었다. 시야가 불투명한 거대 암흑에 둘러 처진 설산을 힘겹게 넘어오듯 정형외과에서 오른발 치료(내부에서 염증 유발)ㅡ외과 대장암 초기 발견ㅡ안과 치료를 받아야만 해서였다. 그때의 힘든 시간을 어떻게 무슨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시인은 평소 긍정적인 생활방식과 강인한 정신력으로 잘 이긴 것 같다. 물론 가족, 특히 사랑하는 남편의 지극한 정성도 한몫했을 것이다.



하루는 시인한테서 전화가 왔다. 시인 퇴원 소식을 듣고도 차마 뭐라고 말할 수가 없어서 지인끼리 소식만 나누던 때였다. 전화를 받자 낯설기 조차했다. 찻집에서 만나기로 하고 집을 나서는 데 문득 '일어섰구나', 하는 생각이 들자, 감회가 깊었다. 역시 송 시인이 만만치가 않다는 것을 실감했다.

KakaoTalk_20241014_212647377_02
만감이 교차하며 찻집에 들어서자, 시인은 문 앞 테이블에 앉아 있다가 반갑게 맞아줬다. "괜찮으세요?" 나도 모르게 손을 덥석 잡으며 물었다. 송 시인은 예전과 다름없이 빙긋이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탁자 위에는 2024년 『밟혀도 피는 꽃』 송은애 꽃시집이 놓여있었다.

꽃 시집은 앞서 9월30일 시인이 운영위원장으로 있는 2024년 대전사랑 문고사랑 구월의 노래 脈 15집과 함께 중구 중앙로 <커먼즈필드?모두의 공터>에서 성황리에 출판기념회를 가졌다. 시인은 말했다.-오랜 시간이 흘렀다. 세상살이가 참 오묘하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에 과거는 추억이 되더이다. 시집을 엮으며 그동안 그래도 많은 詩를 썼구나! 스스로를 칭찬하고 때로는 위로한다. 지인이 보내준 사진과 국립공원 야생화를 보며 다가선 야생화 사진 그리고 눈에 띈 꽃들과 시인이 담았던 아이들, 그때그때 느꼈던 감정의 집합체라고 했다. 야생화 사진을 보내 준 김병지 교수, 원종석 님 그리고 국립공원 야생화팀에게 감사하다는 말도 빼놓지 않았다. 서로 돕고 사는 세상인 셈이다.

시인은 순수문학으로 등단(1996년), 오래도록 글 쓰면서 시간을 보내왔다. 시집 『밟혀도 피는 꽃』 외 11권, 산문집 『고택의 門을 열다』 외 2권. 이제 칠순을 바라보며 반추하는 삶을 살겠다며, 과연 그럴 수 있을까, 자신을 돌아보며 후회는 하지 말아야겠다고 그 다짐을 보여주듯 야생화 시집을 엮었다고 한다. 경력 없는 인생이 오히려 부럽다는 웃스갯소리를 하면서 말이다. 특별히 산문집 2022년 『길마루길 64』는 시인이 사는 동네 이야기이다. 길마루길에 정착한 것이 벌써 15년, 동물들과의 소소한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 시도 아니요, 산문도 아닌 생활 이야기로 일기 쓰듯 써 내려간 글들이 인터넷 카페나 밴드에서 잠들고 있는 것 같아 사연들을 불러들여 엮었다고 한다. 가볍게 읽으며 미소 한번 지으면 좋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나는 이 글을 쓰면서도 걱정이 앞선다. 지난주 출판기념회 행사를 하느라고 무리해서 아픈 건 아닌지 걱정이 돼서다. 사실 송 시인은 사람을 좋아하고 편애하지 않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 그래선지 주변에는 항시 사람이 북적인다. 이번 출판기념회 장소도 무료 대관으로 대표인 강양자 교육학박사와는 '아름고리' 봉사단체에서 같이 활동하던 막역한 사이라고 하니 말이다.

모쪼록 올해는 송은애 시인이 그 어느 때보다도 건강하고 씩씩한 모습으로 자주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민순혜/수필가

민순혜 수필가
민순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세종축제 폐막, '빛과 그림자'...여전히 갈 길 멀다
  2. "시민 안전에는 우리가 1등"-'아산시 시민안전 공공기관 단합대회' 개최
  3. 아산시보건소, '정신건강증진사업' 보건복지부 표창
  4. 세종시 '여·야 정치권' 과거로 퇴행...행정수도 품격 저하
  5. '장영실이 꿈 꾼 과학의 나라'-아산시, 27일 '2024 장영실의 날 기념행사' 개최
  1. "500년 전통의 숨결 흠뻑 느꼈어요"
  2. "원더풀 금산 국제무예올림피아드, 내년에 다시 만나요"
  3. 충남교육청, 전국 장애학생 경진대회 6연속 최다 메달 팀
  4. [기획] 원도심 환경 개선으로 새 삶 선물하는 천안 행복마을 ①
  5. 천안시의회 유영채의원, "천안ㆍ아산 화학 재난합동방재센터 유치 절실"

헤드라인 뉴스


[기획] 上. 세종정원도시박람회 논란, 합리적 선택지는

[기획] 上. 세종정원도시박람회 논란, 합리적 선택지는

'닭이 먼저인가, 달걀이 먼저인가.' 2026년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를 둘러싼 논쟁에 딱 어울리는 격언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을 비롯한 집행부, 국민의힘 시의원 7명은 정원박람회를 통한 국비 확보로 붐을 조성한 데 이어, 지방·국가정원 등록으로 나아가겠다는 입장을 강변해왔다. 닭이 우선이란 뜻이고, 순천시가 걸어온 길이다. 반면 임채성 의장을 포함한 더불어민주당 시의원 13명 중 12명은 지방정원(지자체 자체 지정) 또는 국가정원(정부 승인) 등록 흐름을 만든 뒤 '국제 행사'를 진행해도 늦지 않다는 반론으로 맞서고 있다. 달..

노벨문학상 수상국가지만, 尹정부 도서출판산업 예산 대폭 삭감
노벨문학상 수상국가지만, 尹정부 도서출판산업 예산 대폭 삭감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했지만, 그동안 도서·출판산업에 대한 윤석열 정부의 예산 지원은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15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으로부터 받은 2023년∼2025년(정부안) 5개 도서·출판 지원사업 예산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792억원이던 예산은 2025년 707억원(정부안)으로 10.8%가 삭감됐다. 5개 사업은 국민독서문화증진 지원과 도서관 정책개발·서비스 환경개선, 출판산업육성(활성화), 한국출판산업진흥원..

충청권 농·축협 임직원, 올해만 57명 징계 처분 받아
충청권 농·축협 임직원, 올해만 57명 징계 처분 받아

올해 충청권 농·축협 임직원 57명이 징계 처분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5년간 횡령·폭행 등 각종 물의를 일으켜 징계를 받은 임직원만 358명에 달한다. 이 기간 전국에선 3064명이 징계를 받았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선교 의원(국민의힘)이 농업협동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 여간(2019~2024년 9월) 농·축협 임직원 징계 현황'에 따르면 농·축협 임직원 징계는 2019년 584명, 2020년 505명, 2021년 569명, 2022년 468명, 2023년 506명, 2024년 9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소방 현장 체험에 나선 대전시의회 의원들 소방 현장 체험에 나선 대전시의회 의원들

  • 어느새 물든 가을 어느새 물든 가을

  • ‘수능 대박을 위해’ ‘수능 대박을 위해’

  • 대전인권사무소 개소 10주년 토론회 대전인권사무소 개소 10주년 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