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 대전예술 임기 6년 동안 연재했던 그 기록을 모아서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는 234권의 책이 손안에 들어와 읽기 좋고 수북하게 쌓여 있다는 중의적인 의미로 표지 그림도 정조가 선호했던 '책가도'를 고명성 화백이 유화로 그려줬다.
시인이 수북을 출간하게 된 동기는 자신만의 좋은 기록물(창작물)로 월간지에 연재하고 사라질까 봐 엮으려고 준비했다고 한다. 그런데 마침 2024년 창작지원금을 받게 되어 망설임 없이 출간한 것이다. 출판기념회가 진행되는 동안 나는 만감이 교차했다. 그동안 시인의 아픔을 알기에 말이다.
시인은 지난해 12월 12일부터 동네 병원에 다니다가, 급기야 대학병원 응급실에 실려 가 올해 5월 1일 자로 퇴원했다. 정확히 5개월의 대장정이었다. 시야가 불투명한 거대 암흑에 둘러 처진 설산을 힘겹게 넘어오듯 정형외과에서 오른발 치료(내부에서 염증 유발)ㅡ외과 대장암 초기 발견ㅡ안과 치료를 받아야만 해서였다. 그때의 힘든 시간을 어떻게 무슨 말로 표현할 수 있을까. 시인은 평소 긍정적인 생활방식과 강인한 정신력으로 잘 이긴 것 같다. 물론 가족, 특히 사랑하는 남편의 지극한 정성도 한몫했을 것이다.
하루는 시인한테서 전화가 왔다. 시인 퇴원 소식을 듣고도 차마 뭐라고 말할 수가 없어서 지인끼리 소식만 나누던 때였다. 전화를 받자 낯설기 조차했다. 찻집에서 만나기로 하고 집을 나서는 데 문득 '일어섰구나', 하는 생각이 들자, 감회가 깊었다. 역시 송 시인이 만만치가 않다는 것을 실감했다.
꽃 시집은 앞서 9월30일 시인이 운영위원장으로 있는 2024년 대전사랑 문고사랑 구월의 노래 脈 15집과 함께 중구 중앙로 <커먼즈필드?모두의 공터>에서 성황리에 출판기념회를 가졌다. 시인은 말했다.-오랜 시간이 흘렀다. 세상살이가 참 오묘하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에 과거는 추억이 되더이다. 시집을 엮으며 그동안 그래도 많은 詩를 썼구나! 스스로를 칭찬하고 때로는 위로한다. 지인이 보내준 사진과 국립공원 야생화를 보며 다가선 야생화 사진 그리고 눈에 띈 꽃들과 시인이 담았던 아이들, 그때그때 느꼈던 감정의 집합체라고 했다. 야생화 사진을 보내 준 김병지 교수, 원종석 님 그리고 국립공원 야생화팀에게 감사하다는 말도 빼놓지 않았다. 서로 돕고 사는 세상인 셈이다.
시인은 순수문학으로 등단(1996년), 오래도록 글 쓰면서 시간을 보내왔다. 시집 『밟혀도 피는 꽃』 외 11권, 산문집 『고택의 門을 열다』 외 2권. 이제 칠순을 바라보며 반추하는 삶을 살겠다며, 과연 그럴 수 있을까, 자신을 돌아보며 후회는 하지 말아야겠다고 그 다짐을 보여주듯 야생화 시집을 엮었다고 한다. 경력 없는 인생이 오히려 부럽다는 웃스갯소리를 하면서 말이다. 특별히 산문집 2022년 『길마루길 64』는 시인이 사는 동네 이야기이다. 길마루길에 정착한 것이 벌써 15년, 동물들과의 소소한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 시도 아니요, 산문도 아닌 생활 이야기로 일기 쓰듯 써 내려간 글들이 인터넷 카페나 밴드에서 잠들고 있는 것 같아 사연들을 불러들여 엮었다고 한다. 가볍게 읽으며 미소 한번 지으면 좋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나는 이 글을 쓰면서도 걱정이 앞선다. 지난주 출판기념회 행사를 하느라고 무리해서 아픈 건 아닌지 걱정이 돼서다. 사실 송 시인은 사람을 좋아하고 편애하지 않는 것이 장점인 것 같다. 그래선지 주변에는 항시 사람이 북적인다. 이번 출판기념회 장소도 무료 대관으로 대표인 강양자 교육학박사와는 '아름고리' 봉사단체에서 같이 활동하던 막역한 사이라고 하니 말이다.
모쪼록 올해는 송은애 시인이 그 어느 때보다도 건강하고 씩씩한 모습으로 자주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
민순혜/수필가
민순혜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