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남/대전문학관장 |
많은 국민들이 말했듯이 우리가 그토록 고대하던 첫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온 것은 여러 면에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첫째는 그동안 다른 나라에 비해 저평가되었던 한국문학이 본격적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는 점이다.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조선 시대 500년간 숱한 선비들이 문집을 남겼고, 근·현대기 100여 년의 온갖 풍상 속에서도 이를 재료로 한 신문학의 고된 작업을 마다하지 않은 많은 문인들이 있었음을 기억하고 있다. 이런 생각이 자화자찬일 수도 있겠으나, 우리보다 외국 평자(評者)들의 지적이고 보면 오늘의 노벨문학상은 이러한 오랜 문학적 전통이 한강 작가를 통해 이루어졌다면 지나친 해석일까.
또 하나는 세상의 모든 상이 그러하듯 노벨상의 평가척도 또한 한나라의 국력이라든지 하는 외부적인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경제적 수준은 세계 10위에 오를 만큼 이미 세계가 부러워하는 상황이며 K-pop을 비롯한 한류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고, 한글을 배우려는 열기 또한 전세계에서 일고 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한국은 이제 세계가 부러워하는 국가가 되었고, 전 세계를 휘감고 있는 한류와 한글이 노벨상에 영향을 끼쳤다고 해서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이번 노벨위원회의 수상 소식 발표도 한글로 표기했다)
이런 분석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우리의 꿈많은 문학소녀, 소년이 더 많아질 가능성이라고 생각한다. 갈수록 독서율이 떨어지는 현실 속에서 스마트폰을 통한 SNS로 '깊이 읽기'와 '생각과 상상력'이 점점 고갈되는 세태를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학 인구 또한 격감하는 게 요즘의 현실임을 부인하기 힘들다. 이런 흐름 속에서 한강 작가의 수상 소식은 문학 인구의 저변확대에 하나의 계기가 아닐 수 없으며 이는 곧 우리의 문화 수준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문학이 모든 문화예술의 기초이기 때문이며 문학의 진흥은 자연스럽게 문화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쯤에서 눈을 우리 대전지역으로 돌려보자. 오늘날 대전에는 크고 작은 많은 문학단체가 있으며 여기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 수는 2000여 명에 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문학단체에 가입하지 않고 문학 활동을 하는, 또는 예비문인들 역시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전은 조선 시대 기호유학의 중심지로 숱한 선비와 문사들을 배출한 역사적 뿌리가 있고, 도시로서의 역사가 100여 년에 불과한 도시지만 해방 전후부터 신문학의 적지 않은 역사를 지녀왔다. 따라서 이번 노벨문학상을 계기로 이제 대전문학도 '세계 속의 대전 문학'으로 성큼 나가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한국문학이 '세계 속의 한국문학'으로 평가받게 된다면 대전문학도 그 대열에 끼일 수 있도록 문학적 역량을 배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당국의 지원과 시민의 관심 그리고 무엇보다 문인들의 그치지 않는 창작열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다른 예술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문학은 결국 고독한 작업이며 자신과의 끝없는 대결로 이루어지는 '고통의 산물'이다. 이런 창작의 산물인 문학이 시민들로부터 호응을 얻어 독자가 많아지고, 동시에 그런 문인들을 배출할 수 있는 풍토를 마련해주는 것은 정책당국의 몫이다. 전국의 많은 지자체가 '상주 작가 지원제도'를 펼치고 있는 건 이런 맥락이라고 하겠다. 대전도 차제에 작가가 글쓰기에 전념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창작의 공간을 마련해 주었으면 한다.
대전은 지금 새로운 문예 부흥을 꿈꾸고 있고, 문화도시로 가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한강과 같은 노벨상 후보 작가를 배출할 수 있다면 대전의 문화적 위상은 그만큼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날이 오기를 목 놓아 고대해 본다.
조성남/대전문학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