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한 DSC지역혁신플랫폼 본부장이 11일 진행된 포럼에서 '라이즈 체제 전환기 DSC공유대학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오현민 기자) |
13일 DSC지역혁신플랫폼 등에 따르면 대학 주도로 운영하던 DSC공유대학 사업이 2025년 2월 일몰된다. 대전·세종·충남 세 개의 지역이 초광역으로 연합했던 공유대학 사업이 대학 중심 운영에서 지자체 관리체제로 전환될 예정이지만 마땅한 대책이 없어 현 재학생들의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DSC공유대학은 충남대와 공주대를 중심대학으로 대전·세종·충남 24개 대학이 참여하며 4대 산업 중 하나인 모빌리티 분야의 혁신인재 양성을 목표로 공동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DSC공유대학은 모빌리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융합학부와 모빌리티 ICT 융합학부로 나눠 학부당 4개 전공으로 총 8개의 전공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충청지역 24곳의 참여대학 학생들은 공유대학 이수를 통해 공동학위를 받을 수 있으며 DSC공유대학은 현재까지 263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DSC공유대학 학생들은 학습 선택권 확대, 지역 핵심분야 관련 연구범위 확대, 현장실무역량 증진을 통한 취업기회 확대 등과 함께 공동학위증을 취득하고 있다. 그러나 라이즈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내년까지 이수해야 학위 취득이 가능한 재학생들의 지원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DSC공유대학은 2025년까지 교육을 이수해야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학생을 459명으로 추정하고 해당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선 현행 RIS 체제가 무너지면 안 된다는 입장이다.
DSC 공유대학 2023년 후기 공동학위 수여식이 8월 27일 충남대 대학본부에서 열린 가운데, 김정겸 총장(왼쪽 네번째)과 DSC 공유대학 후기 졸업생 등이 참여한 가운데 공동학위 수여식을 개최했다. /충남대 제공 |
박용한 DSC지역혁신플랫폼본부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DSC공유대학이 라이즈 체계에서 지속적인 교육을 이어갈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DSC공유대학은 대전·세종·충남 내 모든 대학이 참여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자체가 라이즈 예산을 평등하게 배분하려는 움직임에 따라 모든 대학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또 8개 학부 전공을 나눠 운영 중인 체계를 1~2개로 축소하고 지자체별 중점 핵심 전략 산업과 관련된 전공을 추가해 지역 인재를 양성하는 공유된 시스템을 만드는 방향을 제안했다.
박 본부장은 "지난해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에 대해 메가시티 충청권 초광역 관련 구상에 대해 얘기했는데 메가시티에서 할 수 있는 건 여러 가지 있지만 그중 하나는 교육이라고 생각한다"며 "교육에서의 메가시티를 생각한다면 이미 DSC공유대학을 통해서 원활히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DSC공유대학이 라이즈 체제로 전환될 때 기존 RIS를 승계한다고 명시됐지만 학생 교육과 관련된 부분이 어떻게 연계될지는 아직도 마련되지 않고 있다"며 "내년도 교육 과정 등 운영내용이 현재 시점엔 수립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 답답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DSC공유대학을 3년간 운영하며 구축해놓은 공고한 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것보다 부족한 부분을 수정·보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영림 DSC지역혁신플랫폼 모빌리티소부장본부장은 "3년간 쌓아온 명맥을 끊지 않도록 지자체 차원의 고민이 필요하다"며 "지자체별 운영을 모색하고 있지만 연합 가능한 분야는 초광역 공유대학을 운영하는 방향도 생각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