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기 DSC지역혁신플랫폼 센터장이 개회사를 통해 DSC공유대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사진=오현민 기자 |
DSC지역혁신플랫폼은 11일 오전 10시 롯데시티호텔 대전 크리스탈 볼룸에서 충청권 메가시티와 DSC공유대학의 미래를 주제로 '지자체-대학 동반성장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진행된 포럼에선 DSC공유대학 관계자와 RISE(라이즈)사업 주체인 지자체 관계자가 함께 공유대학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진행된 포럼은 김용기 DSC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주휘정 박사, 이재권 충북지역혁신플랫폼 본부장, 박용한 DSC지역혁신플랫폼 본부장의 주제발표와 패널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김용기 센터장은 개회사를 통해 DSC 공유대학의 미래와 충청광역연합의 출범이라는 두 가지 주요 이슈를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DSC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은 모빌리티 소부장사업, ICT사업, 대학교육혁신사업, 지역혁신 자율사업으로 구성돼 있다"라며 "특히 DSC공유대학은 자랑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라이즈 체계로의 전환으로 인해 현재 재학생들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12월 비수도권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이 출범한다"며 "DSC 지역혁신플랫폼은 2021년부터 충청권 메가시티 기반 구축을 목표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고 이 경험이 충청광역연합 구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용기 DSC지역혁신플랫폼 센터장을 비롯해 포럼에 참여한 관계자들이 DSC공유대학의 희망찬 미래를 소망하며 단체사진을 찍었다./사진=오현민 기자 |
박용한 본부장은 라이즈 체제 전환기에 놓인 DSC공유대학의 현황과 직면한 과제를 공유했다. 박 본부장은 "공유대학의 핵심적인 성과는 9개의 지역혁신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공유대학 중 최초로 공동학위증을 수여하고 있다"며 "지·산·학·연 특화 교육과정을 원활하게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기업체는 RIS사업이 끝나고 라이즈로 전환된다고 하니, 처음엔 의욕적으로 참여했다가 최근 들어서는 내년 상황보고 하자"는 입장을 보인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재권 본부장은 충북의 PRIDE공유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라이즈 체제에서 공유대학 운영방안에 대해 조언했다. 이 본부장은 "대학이 단지 대학으로써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 대학, 산업, 시민사회가 함께 상생하며 지식뿐만 아니라 관계적 대학, 기업가적 대학, 참여적 대학으로 거듭나야 하는 마인드로 변하고 있다"며 "이러한 것을 아우르기 위해 실시했던 게 RIS고 그것과 연계된 것이 라이즈다"라며 공유대학 존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DSC지역혁신플랫폼은 2021년 6월부터 기업체 맞춤형 학사구조·교육과정 개편 등 종합적인 교육 혁신과 DSC공유대학 운영 등 대학교육 혁신에 나서고 있다. 또 지역혁신을 골자로 대전의 연구 역량, 충남의 제조 인프라, 세종의 자율주행 시범 국가사업을 연계한 충청권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이재권 본부장이 충북지역혁신플랫폼의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오현민 기자 |
오현민 기자 dhgusals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