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준 대전시 도시주택국장 |
도시재생에 대한 통합적 접근의 성공사례는 세계 여러 도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뉴욕의 하이라인 프로젝트는 폐철도 위에 공원을 조성하여 도시 공간을 새롭게 재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바르셀로나는 도시의 작은 블록을 연결해 보행자 중심의 공공공간을 조성하는 슈퍼블록 프로젝트를 통하여 주거환경과 대기질 문제 개선 뿐 만 아니라, 건강한 주민공동체 형성에 기여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도시재생이 단순한 물리적 재건을 넘어 지역 사회와 경제의 혁신을 이끌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 시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도시경쟁력 향상과 지역경제 혁신을 목표로 도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는 대전의 경제성장을 이끄는 거점조성사업으로, 대전역세권을 중심으로 기업성장 플랫폼·스마트모빌리티 복합환승센터·고밀주거가 융합된 혁신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시의 강점인 과학기술 인프라가 결합된 혁신생태계가 조성되면 지역경제의 활력을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와 국토균형발전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부문의 도시재생 또한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대전역 일대 인쇄·한의약거리, 중앙로 신구 지하상가 연결통로 등에서 지역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다. 지난 8월 성황리에 개최된 영시축제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영시축제는 국내 축제 중 단일 기간 최대 방문객을 기록하며 시민의 여가·삶의 질 향상 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문화예술 부흥 등 도시의 매력과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최근 광역자치단체 브랜드 평판에서 4개월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우리시의 위상이 달라진 데에는 축제를 비롯한 도시·문화부문의 도시재생사업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렇듯 도시재생 정책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균형 잡힌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주거환경 개선과 함께 산업·문화부문에 대한 발전과 육성이 함께 이루어져야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의 요소를 충분히 염두에 두고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첫째,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접근해야만 진정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변화하는 여건에 대응하면서도 도시경쟁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접근이라는 일관된 방향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둘째, 주민참여와 이에 기반한 지역공동체의 형성이 요구된다. 미국의 도시계획가인 제인 제이콥스가 '도시의 생명력은 주민의 활동과 상호 작용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 바와 같이, 다양한 주민·관계자의 의견이 균형 잡힌 전략이 되고, 공동체의 활력이 도시의 경쟁력이 되도록 활용하여야 한다. 우리 시는 앞으로도 특정 공간의 재생을 넘어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긴 안목을 가지고 지역자원을 발굴·연계하는 방향으로 도시 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문화와 경제가 융성하며, 이를 시민들이 온전히 누리는 일류도시 대전이 되길 기대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