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두 해째의 전반기 모금액은 전국을 통틀어 200억원에 약간 못 미쳤다. 이 가운데 대전은 1억7100만원, 세종은 7800만원으로 빈약했다. 충북 8억4900만원, 충남 10억3400원도 전남(47억5400만원)과 전북(33억400만원), 경남(25억원2300만원) 등에 비해 현저히 적다. 기부금 모금 방법 제한을 완화하고 연간 기부 상한액을 높이는 등 자치단체의 자율성을 확대하지만 아직 성과가 제한적이다. 이처럼 주춤한 원인을 민관 파트너십 부재에서도 찾아야 할 듯싶다.
고향사랑기부제 자체가 지자체 혼자만으로 시행하기 어려운 제도임은 이미 드러났다. 시즌2의 대안으로 유용할 수 있는 것이 지자체가 요구한 민간플랫폼 개방이다. 원조 격인 일본 고향납세에서 지난해 10조원을 거둔 데는 민간 플랫폼에 기부금 창구를 개방한 덕이 컸다. 일본의 경우, 지자체가 30여 개 민간 플랫폼 중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다. 일부 지역에서 시행하는 상호기부와 함께 기부 전문가의 컨설팅과 민간 플랫폼의 마케팅 전문성이 결합하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제도 활성화와 모금 성과 개선을 위해서는 지역민 누구나 일상 가까이에서 고향사랑기부제를 접하게 해줘야 한다. 사회적 기업 공감만세가 운영하는 위기브 프로그램과 진천군 등의 업무협약은 좋은 사례다. 위기브에서는 원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해 기부하는 지정기부도 잘 활용하면서 기부 투명성을 높이기 바란다. 잘 모으는 것 못지않게 잘 쓰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의 중심에 기부 편의성을 높이는 민간 플랫폼을 두도록 정부가 입장을 선회한 것은 잘한 결정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