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 |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지만, 미리 대비 된 안전이 우리를 평온한 상태로 생활할 수 있게 해준다. 안전을 유지하는 것 만큼, 위험 상황 발생 시의 대응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이 발전하면서 도시 차원에서의 변화와 대응도 함께 이어지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공간적인 데이터 접속 제한이 줄어들었으며 이를 활용하는 유비쿼터스 시티(Ubiquitous City) 구축이 진행됐다. 이 시기에는 초고속 통신망을 바탕으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였다.
2010년 후반에는 컴퓨터시스템이 학습과 추론을 하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과 다양한 사물과 센서에 무선 통신 기능을 부여해 활용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시티 구축이 진행돼 안전한 사회 형성의 큰 원동력이 됐다.
방범, 방재, 의료, 교통, 환경 등 안전과 관련된 시스템들이 더욱 촘촘히 구축됐으며 다양한 센서들이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고 관제하면서 대응이 가능한 플랫폼들이 적용됐다.
근래에는 다양한 센서(Sensor)와 이미지 등에서 의미를 추출하고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재가공해 시스템의 완성도를 높이고 신뢰도를 확보하는 기술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일상의 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위험 요소는 무엇이 있을까? 화재 위험이 그중 가장 첫 번째로 떠오르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건조한 가을은 산불의 위험이 많고 최근에는 전기차 화재 소식도 사고의 위험을 높이고 있다. 순식간에 불이 번져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초래하는 사건·사고가 많아지는 현재 상황에서 대전시는 첨단 기술을 활용해 맞춤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으로 '실시간 도시 빅 데이터 융합 119 재난대응 플랫폼'이 있다. 복잡하고 대형화하는 재난 현장에서의 과학적 의사 결정을, 수집되는 데이터(도로정보, 화재감지센서, CCTV 등)를 기반으로 분석한 다음 화재 발생 지역 시민들에게 화재 정보를 문자로 발송해 신속한 대피를 돕는다. AI 기반 실시간 문자 번역과 음성번역을 활용해 대전 내 2만여 명의 외국인에게도 도움을 준다.
이와 함께 최신 디지털 트윈(현실과 같은 가상의 도시 구축) 기술을 적용해 융복합 데이터를 활용한 실감형 소방안전도시 플랫폼을 구축했다. 이 플랫폼은 가상의 3차원(3D) 공간에 디지털 트윈 공간 정보를 구축한 뒤, 각종 재난 발생 시 최적의 대피 동선과 신속한 구조 체계를 운영한다. 복잡한 건물 내에서 대피 시간을 줄이고 소방관에게는 진입 동선을 제시하는 최첨단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화재뿐만 아니라 무수히 많은 안전 이슈가 주변에 산재한 만큼, 안전에 대한 높은 시민의식과 최첨단 시스템을 바탕으로 안전한 도시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대전시는 시민들과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빠르게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실증 테스트베드 플랫폼 규정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전문의원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있다.
재난 대비 시스템과 플랫폼을 미리 준비하고 다양한 안전 체험 행사를 여는 이유도, 그것이 일류도시로 가는 원동력이자 필수 요건이기 때문이다. 안전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도시. 그게 바로 '일류 안전 도시'라고 생각한다. /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