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이 실시한 학생 문해력 실태 교원 인식조사 결과 응답자의 92% 이상이 학생들의 문해력이 저하(보라색)됐거나 매우저하(주황색)됐다고 응답했다.교총 제공 |
"영어, 사회, 역사 수업이 단어풀이 수업이 됩니다. 수학 문장제 문제를 해석하는 데 시간이 다 가고 글쓰기는 두 줄을 넘기기 어렵습니다. 생각하고 글을 쓰는 인간의 기본적인 능력이 퇴화되고 있어요."
10월 9일 한글날을 앞둔 가운데 현장 교사들이 느끼는 학생들의 문해력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초·중·고 교원 10명 중 9명은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보다 떨어졌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과도한 디지털기기의 사용을 지목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는 578번째 한글날을 앞두고 교총 소속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생 문해력 실태 교원 인식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9월 20일부터 26일까지 전국 초·중·고 교원 5848명이 참여한 설문 결과 응답 교원의 92.2%인 5372명이 과거에 비해 학생들의 문해력이 저하됐다고 답했다. 이 중 2299명은 '매우 저하', 3073명은 '저하'라고 인식하고 있다.
교사들은 학생의 문해력 저하 원인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 매체 과사용'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독서 부족', '어휘력 부족',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문해력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에 대해선 '독서활동 강화', '어휘교육 강화',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 등을 꼽았다.
교사들은 디지털기기 보급으로 학생들의 필체 가독성이 나빠졌다고 인식하고 있기도 했다. 가독성이 좋아졌다(0.6%)거나 변화가 없다(4%)는 응답은 소수에 그쳤고 94.3%는 가독성이 나빠졌다고 답했다.
일선 교사들은 학생의 문해력 부족으로 난감하거나 당황스러운 상황을 마주하고 있다.
9년째 6학년만 가르치고 있는 한 교사는 "단순 숫자 계산은 잘하지만 3줄이 넘어가는 문제는 읽지도 않고 포기한다"며 "특히 비문학 작품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해가 갈수록 심해짐을 느낀다"고 전했다.
중2를 가르치는 한 교사는 "학생들의 어휘력 수준 양극화가 더 심해지고 모르는 학생들의 기초 수준이 매우 낮아 기초어휘를 물어볼 때 다른 학생들이 놀리다 보니 몰라도 점점 안 물어보는 분위기"라고 했다.
교총은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 영향과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과 독서, 글쓰기 활동 등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