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2022 대한민국 정원산업박람회(좌)와 2023 세종 빛 축제 전경. 사진=세종시와 중도일보 DB. |
9월 4일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 과정부터 시작된 '정상 반영 vs 전액 삭감' 입장 간 대립각이 좁혀질지가 최대 관심사다. '민주당 vs 국힘' 정쟁으로 비화된 갈등은 한 달째 지속되며, 시민사회와 언론, 집행부, 정치권 모두의 피로감으로 쌓이고 있다.
최민호 세종시장과 집행부는 그동안 2개 사업의 당위성과 미래 비전을 지속 설명하며,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세종시의회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요구해왔다. 무엇보다 정원도시박람회의 경우, 여·야 합의로 선행 예산 약 10억 원이 집행된 데다 정부의 국제 행사 및 조직위 운영 승인 등의 검증 과정도 거쳤다는 점에서 우선 고려를 원하고 있다.
91회와 92회 예결위를 2차례 거치고도 논의가 원점을 맴돌자, 시민사회를 통한 진실 공방전 수위를 높여왔다. 최 시장은 기자회견부터 입장문 및 호소문 배포, 갑·을 지역구 국회의원과 면담 등에 이어 10월 6일 단식이란 마지막 카드마저 던졌다.
시의회 전체 20석의 65%(13석)를 점유한 민주당은 '예산 삭감' 입장을 고수하면서, 최 시장과 집행부의 이 같은 움직임엔 외형상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기자회견도 9월 11일 이현정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의 짧은 진행 이후 멈춰섰다. 이후 개별 의원들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간략한 입장을 개진하는 모습만 엿보였다.
민주당 시의원들도 각론에선 의견이 분분한 데다, 강준현 국회의원이 시당위원장이란 대표성을 가지고 나서는 모습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과정에서 지역사회 여론은 최 시장과 집행부를 통한 일방향으로 흘러왔고, 민주당도 더는 상황을 지켜보기만 할 수 없는 시점을 맞이했다. 실제 '최 시장의 단식' 카드는 중앙 정치권과 방송·언론의 이슈로까지 확산되며 시민들의 눈과 귀를 자극하기 시작했고, 김태흠 충남지사의 10월 6일 세종시 방문은 또 다른 국면을 조성했다.
세종시의회는 이 시점 전만 해도 10월 10일 정례 기자회견만 예고했다. 11일 개회하는 제93회 시의회 임시회 의제를 설명하는 의례적 자리다.
7일 오후 2시로 예고한 김현옥 민주당 세종시의회 원내대표의 기자회견. 사진=민주당 제공. |
민주당이 그동안 언급을 자제해온 '국제정원도시박람회와 빛 축제' 등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 지 주목된다. 강대 강 대립각을 더욱 키울지, 협치와 대타협의 손을 내밀지가 최대 관전 포인트다. 7일 회견이 논리 다툼의 양상으로 흘러갈 경우, 10일 정례 기자회견과 11일 임시회를 통한 반전 국면 조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관심사는 내용과 입장이다. 회견에선 2026 세종 국제정원도시박람회 개최에 대한 찬성·반대란 원론적 입장부터 ▲1년 총예산 약 2조 원 대비 삭감된 20억여 원 의미 ▲무산 시, '정원도시' 대안 사업 또는 새로운 국제 행사 유치 구상 ▲중앙녹지공간의 미래상과 비전 ▲정상 추진 시, 조직위 운영 예산 반영 시점 ▲빚축제와 상응하는 의미로 각 읍면동별 소모성 축제 등에 대한 유지 또는 삭감 견해 등을 묻는 질의가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빛 축제와 관련해서도 △정상화할 경우, 빛 축제 방향 △무산을 전제로, 12월 연말연시 지역졍제활성화 대안 사업 △미래 세종시의 문화·관광·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법론 등의 다양한 질문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