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시 생산성 측정 사례. 보고서 발췌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이치호 부연구위원이 최근 발간한 과학기술 정책 브리프에 따르면 챗GPT 등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생성형 AI 등장 이후 업무 활용 가능 범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생성형 AI는 검색, 문서 요약, 문서 작성, 번역 등 언어(문자)를 매체로 한 정리보처리에서 기존보다 탁월한 성능을 보이며 다양한 범위서 쓰이고 있다.
연구진은 향후 AI 범용기술이 향후 직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AI를 적절히 사용할 땐 다양한 분야서 생산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면서다. AI를 활용 시 생산성을 측정한 사례에 대한 각종 연구 결과 글쓰기, 프로그래밍, 고객지원, 법률 시험, 컨설팅, 의료진단 등 다양한 분야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정량적으로 측정되고 있다.
AI 활용 역량은 미래 경제성장과도 직결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1990년대 디지털 전환 시기 미국이 빠르게 대응한 사례를 토대로 미래 경제성장에 AI 활용도가 중요하다는 견해다.
이치호 부연구위원은 고령자·재직자·학생 등 집단별로 시급성과 대응 전략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고령자의 AI 리터러시가 미래 경제성장과 불평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새로운 기술의 습득이 요구되며 재직자는 현재 분야에서의 AI 역량 교육으로 생산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학생은 AI 활용을 전제로 한 교육체계 개편이 필요성을 제기했다. 비판적 사고와 과학 이해 역량, 수학,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 기술 윤리 등 AI 활용 역량, 사회적 관계 형성 능력 등을 요구하며 AI 시대에 맞는 역량에 대한 이해과 교육과정 개편을 언급했다.
정부는 2023년 9월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 실행계획', 24월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 방안', 2022년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등을 내놓고 있지만 향후 과제는 산적하다는 평가다.
고령자와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부족하고 교육 투자가 미미한 수준이며 학생 대상 교육은 시도되고 있지만 교육과정의 재구성과는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산업적 활용과 리터러시 교육에 필요한 AI 접근성도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치호 과학기술인재정책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언어(문자)를 매체로 한 정보처리에서 AI는 이전에 상상할 수 없었던 탁월한 성능을 보이며 산업현장에서도 활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1990년대 이후 미국과 유럽 간 경제성장 차이가 벌어진 것은 유럽이 미국 대비 디지털 전환에서 뒤처진 사례기 때문에 우리도 AI 활용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