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윤 기자. |
대전 성심당이 임신부에게 프리패스 제도를 제공한 것을 두고 '불공평'하다는 일부 네티즌들의 의견을 보고서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임신부에게 주어지는 혜택을 바라보는 일부 시각들로 눈살이 찌푸려졌다.
성심당은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할인 혜택과 대기 없이 이용이 가능한 프리패스와 예비맘 할인 제도를 운영 중이다.
임신 상태를 알리는 배지나 산모 수첩을 소지한 고객은 성심당 전 지점에서 결제금액의 5%를 할인받는다.
입장 시 대기하지 않아도 된다. 또, 결제 금액의 5% 할인된 가격으로 빵을 구매할 수 있다.
지역 기업이 저출산 극복을 위해 이러한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대다수가 이런 혜택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지만, 역시나 이를 달갑게 바라보지 않는 시선도 있다.
일부 인터넷 사이트에선 "불공평한 제도", "왜 임산부만 혜택을 받느냐"는 등의 댓글이 달렸다. 다소 순화했지만, 입에 담기 힘든 말들도 꽤 많았다.
사실 성심당 사례 이전에도 임산부 혜택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각이 있었다.
임산부 배려석이 그 일례다.
대전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자체들은 지하철 일부 좌석을 임산부 배려석으로 지정했다.
배려석이 생긴 지 벌써 1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이에 대해 곱지 않은 눈으로 바라보는 이들이 존재한다.
지인이 겪은 일이다. 임신 5개월 차인 지인은 가방에 임신 상태를 알리는 배지를 달고 출퇴근하지만, 황당한 상황을 종종 겪는다고 한다.
많은 승객들은 지인을 보면 자리를 양보하곤 하지만, 일부의 경우 "임신한 게 대수냐", "나도 다리가 아프니 다른 좌석 찾아 봐라"는 등의 차가운 반응을 보이곤 한다.
결국, 출산 이후 쓰기 위해 모아뒀던 금액 일부를 사용해 중고차를 사기로 선택했다.
"임신한 게 유세냐는 식으로 바라보는 시선에 상처를 많이 받는다"라며 "다 그러는 건 아니지만, 몇 번 이런 상황을 겪다 보니 혜택을 받는 것 자체가 눈치 보여 사용하지 않게 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한국이 초저출산 시대에 들어서면서, 정부와 지자체들은 출생률을 높이기 위해 여러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정책적인 노력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로 본 것이다.
다만, 무조건적인 금전적 지원만으로는 저출산을 극복하지 못하는 상황에 구조적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가장 중요한 건 시민 의식도 함께 개선돼야 한다.
출산 준비에 놓인 이들에게 불편한 시선과 따가운 눈초리를 주기보단 따뜻한 마음으로 바라봐 주는 것도 가장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