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다문화] 더반의 이상 기후

  • 다문화신문
  • 천안

[천안다문화] 더반의 이상 기후

  • 승인 2024-10-10 15:59
  • 신문게재 2024-10-11 11면
  • 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이제 더 이상 Global Warming은 뉴스가 아니지만 세계 곳곳의 날씨가 심상치 않은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남아공 더반의 뉴스만 해도 날씨가 심상치 않음을 알 수 있다

남반구에 위치한 남아공은 한국과 계절이 반대이다.

동쪽 인도양을 접하고 있는 남아공의 여름(12,1,2월)은 한국처럼 매우 습하고 덥다.



겨울은 7, 8월인데 한국과 달리 매우 온난하다.

한국의 봄, 가을 날씨를 생각하면 된다.

낮은 덥고 밤은 쌀쌀한 정도다.

보통 더반의 겨울기온은 밤15℃, 낮24℃로 밤낮의 온도차가 크다.

하지만 2024년 더반의 겨울은 6, 8℃ ~ 20℃ 로 예전 평균 기온 보다 낮다.

9월 이면 봄인데도 여전히 16℃ ~ 24℃로 2023년 20℃~26℃ 보다 낮다.

대략 4시간 반 가량 차로 더반의 북쪽에 위치한 해리스미스(Harrismith)에서는 한국의 겨울처럼 폭설이 왔다.

매우 드문 일이다.

남아공 서쪽에 위치한 케이프타운도 이번 겨울(7,8월)이 매우 춥고(7℃~18℃) 매우 많은 양의 비가 내렸다.

7월 1달간 강수량 96mm, 8월에는 80mm의 비가 내렸다.

한국인이면 그 정도 날씨는 봄, 가을 날씨지만 남아공 사람들에게는 이례적인 추운 날씨다.

한국도 올해 매우 더운 날씨를 겪었으며 지금도 이례적으로 낮은 덥고, 저녁엔 약간 시원한 정도의 이상 기온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도대체 이 지구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과연 우리는 지구를 살리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지 심각하게 고민해야겠다.

포드 브레트 명예기자(남아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홍석환의 3분 경영] 간직된다는 것
  2. ‘어떤 나무를 심을까?’
  3. 대전 서구 도마변동13구역, 우여곡절 끝 사업시행계획 총회 통과
  4. [한성일이 만난 사람]안동욱 (주)미소정보기술 대표
  5. [독자칼럼]대한민국의 경제위기 극복방안

헤드라인 뉴스


[기획] 지천댐, 갈등 넘어 상생의 댐으로-(상) 지천댐 필요성

[기획] 지천댐, 갈등 넘어 상생의 댐으로-(상) 지천댐 필요성

충남 청양 지천댐 건설을 두고 충남도와 반대 주민들이 이견을 보이며, 진척 없이 갈등만 깊어지고 있다. 도는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건설 프로젝트라며 필수 사업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 주민들은 지천의 환경 파괴뿐 아니라,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이 발생하는 등 주민들에게 악영향을 주는 사업이라고 거세게 반발한다. 소득 없는 줄다리기로 도의 행정력은 소비되고, 주민 불신만 커지고 있는 상황. 지천댐 건설 여부를 명확히 가리기 위해선 댐 건설의 필요성, 양측 주장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다. 이..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