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대신 '사람을 만나는 도시'...송민철 저자의 해법은

  • 문화
  • 문화/출판

자동차 대신 '사람을 만나는 도시'...송민철 저자의 해법은

9월 20일 이 같은 문제 인식 담아 도시의 현주소 진단부터 해법까지 제시
행복청-국무조정실 근무 경험 토대로 '길의 중요성' 인식...3대 요소 강조
사람들로 북적이는 거리 만들기가 궁극적 목표...머물고 싶은 공간 희망

  • 승인 2024-10-01 09:25
  • 수정 2024-10-01 09:36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50243546625.20240910085922
송민철 과장이 직접 써낸 '사람을 만나는 도시'. 사진=교보문고 갈무리.
자동차에 대부분의 공간을 빼앗긴 도시. 더 나은 환경에서 살아갈 권리를 찾을 방법은 없을까.

이미 자동차와 왕복 6차선 이상의 대로로 포화 상태에 이른 대부분 도시에 적용하기란 이상에 가깝다. 이제 12년 차 세종특별자치시는 그래도 이상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 최적의 도시로 통한다.

9월 20일 출간된 '사람을 만나는 도시(저자 송민철, 효형출판)'가 눈길을 끄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자동차에 빼앗긴 장소를 되찾는 도시설계 지침서로 세상에 선보이고 있다. 국가공무원이 더 나은 도시를 누릴 권리를 찾기 위해 책을 썼다. 주인공은 행복도시건설청을 거쳐 현재 국무조정실 특별자치시도 지원단에 재직 중인 송민철 과장.

저자는 온라인 교보문고의 책 소개를 통해 우연한 만남 대신 단절된 이웃만 있고, 목적 있는 의사소통만 존재하는 원인을 자동차 중심의 도시설계에서 찾았다. 도시민들은 반복되는 교통 지·정체에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어느새 이 환경에 순응하며 문제를 문제로 보지 않게 된다고 봤다.



현주소 아래 해법은 '길의 중요성'에서 찾았다. 길을 통해 사람이 만나고 걷게 하는 도시로 만들어야 하고, 이를 위해 ▲만남 장소 확보(Secure) : 보행로와 공공공간 ▲만남을 방해하는 요소의 분리(Separate) ▲만남을 촉진하는 요소 더하기(Serve)까지 3대 요소를 제시했다.

궁극적인 목표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거리 만들기'로 향한다. 보행로와 차도, 대중교통 정류장과 광장 등을 우선 마련하고, 이후 머물고 싶은 아름다운 공간으로 만드는 과정을 필수 단계로 뒀다.

해외 사례로는 기차 노선을 중심으로 자전거 도로와 보행로를 자동차 도로와 분리하는 교통망을 만들어 운용 중인 네덜란드 하우턴을 소개했다. 이곳에선 자전거 타기가 자동차보다 시간과 비용 면에서 합리적인 선택지다.

저자 송민철 씨는 "아름다운 골목과 거리로 손꼽히는 도시들은 하나같이 걷기 좋은 환경을 통해 우연한 만남을 불러일으킨다. 사람들이 길을 오가며 자연스레 교감하고 연결되는 바람직한 환경을 만들어낸다"며 "우리도 각자의 호흡과 리듬으로 서로가 공감하며 어깨를 맞대는 도시 풍경을 그려내야 한다. 이는 결국 삶의 질을 높이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될 때, 매일 1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길을 걷다가 교통사고를 당하고 일부는 영원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안타까운 일도 사라질 수 있다고 봤다.

저자는 그 대안 도시로 세종시를 직접적으로 지목하진 않았다. 그럼에도 세종시는 저자가 지목한 '사람을 만나는 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장 크게 지닌 도시임에 틀림이 없다.

설계 시점부터 폐쇄형 버스 전용차로를 적용하며 도로 위 지하철인 비알티(BRT)를 도입했고, 50km/h 속도 제한과 단지 내 지상 주차장 없는 도시, 차로 만큼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를 확보, 이응패스(버스+자전거 정액권) 시행 등이 대표적 사례다. 저자의 바람이 2030년 완성기를 앞둔 세종시에서 실현되길 기대해본다.

한편, '사람을 만나는 도시' 목차는 1부 우리는 안녕한가와 2부 안녕으로 가는 길, 3부 무엇을 해야 하는가, 4부 어떻게 해야 하는가로 구분되고, 각 주제를 뒷받침하는 19개의 이야기로 구성됐다. 새로운 도시를 만드는 3S, 보행 공간 확보, 광장 및 차도 망 계획, 필지 구획, 가로 및 상가, 공원 계획 등이 주요 내용이다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둔산 리빌딩’…대전 둔산 1·2지구, 재건축 움직임 본격 시동
  2. 대전 치매환자 등록률 46% 전국광역시 '최저'…돌봄부담 여전히 가족에게
  3. '산불 복구비 108억, 회복은 최소 20년'…대전·홍성 2년째 복구작업
  4. 아이 받아줄 사람 없어 '자율 귀가'… 맞벌이 학부모 딜레마
  5. 4월부터 우유, 맥주, 라면 등 '줄인상'
  1.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2.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3.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4.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5.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헤드라인 뉴스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돌아오는 충청권 의대생들… 모집인원 동결 이번주 판가름

의과대학 학생들이 집단휴학을 철회하고 학교에 복학을 신청하면서 의학교육이 1년 만에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이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지 살펴보고 복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밝혀 이번 주 의대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느냐 중요한 시간이 될 전망이다. 정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인 31일 전국 대다수 의대가 등록을 마감한 가운데 대전과 충남·북의 의대에서도 대체로 학생들이 복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충남대 의대는 3월 30일 복학 신청 접수를 마감했으나 몇 명의 학생들이 복학했는지 아직 공표하지 않고 있다. 당초 2월 2..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케이크 가격 4만원대?... 생일 초 불기도 부담되네

소비자 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 가격 인상이 계속되면서 케이크 가격도 4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31일 해당 업계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커피와 음료, 케이크 가격을 올렸다. 케이크 가격은 2000원 올리고 조각 케이크는 4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스트로베리 초콜릿 생크림(스초생)은 3만 7000원에서 3만 9000원이 됐다. 스초생 2단 제품은 4만 8000원이다. 딸기 생크림은 3만 6000원이고 클래식 가토 쇼콜라 가격은 4만원이다. 조각 케이크는 생딸기 우유 생크림은 9500원으로 1..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대전시, 자전거고속道 구축 필요성 고개…단절구간 많아 교통분담 제자리

탄소 중립을 위한 대표적 교통수단인 자전거 이용을 높이기 위해 대전시가 '자전거 고속도로망' 구축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0년간 자전거 도로는 크게 증가했지만, 단절 구간이 많아 교통 분담률이 크게 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31일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전시 자전거 고속도로 도입을 위한 기본구상 연구' 보고서를 보면 대전의 자전거도로 총연장은 2023년 기준 937㎞로 2010년 586.9㎞ 보다 60% 가까이 증가했다. 하지만, 자전거 분담률은 1.85%(2021년 기준)로 여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3색의 봄 3색의 봄

  •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안 오르는 게 없네’…라면, 우유, 맥주 4월부터 인상

  •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꽃샘추위 이겨낸 야구 열기…한화생명 볼파크 세 번째 매진

  • ‘어떤 나무를 심을까?’ ‘어떤 나무를 심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