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문인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책묘(責猫, 고양이를 나무라다)」는 고양이에 대한 시이다. "감추어 둔 나의 고기를 훔쳐 배를 채우고, 천연스레 이불 속에 들어와 잠을 자구나. 쥐들이 날뛰는 게 누구의 책임이냐. 밤낮을 가리지 않고 마구 다니네." 그의 시에서 고양이는 쥐를 잡기는커녕 말썽꾸러기로 묘사하였지만, 애정이 엿보인다.
조선후기 문인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이 작성한 백과사전『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고양이에 관한 항목이 있다. 지금의 '캣맘(고양이를 뜻하는 cat과 엄마를 뜻하는 mom의 합성어로 길거리와 들에서 살아가는 고양이의 사료를 정기적으로 챙겨주는 사람을 일컫는 말)' 격인 '묘마마(猫??)'가 언급된다. 기록 속 묘마마는 길고양이를 돌보면서 음식을 나눠주고 보살필 뿐만 아니라 손수 옷을 만들어 입혔다고 전해진다.
조선초기 학자이자 문인인 성현(成俔, 1439-1504)은 4년간 키우던 흰 고양이가 개 떼에 물려 죽자 슬픔에 젖어 제문(祭文)을 지었다. 그의 시문집 『허백당집(虛白堂集)』에 실린 ?예백묘문(?白?文, 흰 고양이를 묻어 주며)?의 일부이다. "…바른 색을 타고 났고, 용모는 흠이 없구나. 눈 같은 털 고결하고, 눈 같은 털 곱기도 하지…사람 위해 해악을 제거하였으니 그 공이 작지 않았지. 개가 사납게 짖어 대며 무리 지어 와서 속이는데, 너는 피할 줄을 모르고 이리저리 따라 다니다가 마침내 물리는 횡액을 당하였네…너를 생각하는 이때 더욱 슬프고 더욱 보고 싶구나." 기록을 통해 먼저 세상을 떠난 고양이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이 느껴진다.
조선 17대 왕 효종(孝宗, 재위 1649∼1659)의 셋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는 혼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만 끼고 돌았다고 한다.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일부에는 효종의 부정(父情)이 눈길을 끈다. "너는 시댁에 정성을 다한다고 하거니와 어찌 고양이는 품고 있느냐. 행여 감기에 걸렸거든 약이나 지어 먹어라." 혼인한지 얼마되지 않은 어린 딸이 눈치 없이 고양이만 끼고 도는 애묘가(愛猫家)였던 탓에, 시댁 눈 밖에 날까 염려하는 아버지의 마음이 편지에 담겨있다.
조선 19대 왕 숙종(肅宗, 재위 1674-1720)은 조선시대 이래 제일가는 애묘가이며, 고양이 이야기에선 빠지지 않는 인물이다. 조선후기 학자 김시민(金時敏, 1681-1747)의 『동포집(東圃集)』에 쓰인 ?금묘가(金猫歌)?에 따르면, 숙종은 부친의 묘소에서 우연히 발견해 궁으로 데리고 온 고양이를 '금손(金孫)'이라 부르고 항상 곁에 뒀다고 한다. 숙종은 수라상에 올라간 고기를 남겨 두었다가 주는가 하면, 잠자리에 들 때에도 곁에서 자도록 허락했다. 엄격한 분위기의 조선 왕실도 반려동물에 대한 애정은 숨길 수 없었던 것이다. 숙종은 말년에 건강이 악화되어 1720년 7월 12일에 승하하였다. "임금 돌아가신 소식이 다다르자 금묘가 먹지 않고 사흘 동안 통곡하니…울음소리 너무 슬퍼 차마 못 듣겠어라 보는 이마다 눈물로 옷깃을 적시었네. 스무날을 통곡하다 기어이 죽고 마니 앙상하게 야윈 몸이 더욱 참담했어라. 비단으로 머리 감싸 상여로 묻어주니 묻힌 곳이 명릉에서 바로 지척이라오." 금손은 왕을 뒤따르듯 20일 만에 죽은 금손은 숙종의 무덤[명릉] 근처에 묻혔다.
(그림 1) 변상벽, <묘작도(猫雀圖)>,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그림 2) 변상벽, <국정추묘도(菊庭秋猫圖)>, 간송미술관 소장 |
최정민/평론가
최정민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