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삼 우송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첫 번째, 문화 다양성에 대한 지식과 자?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한 교육이다. OECD는 총인구 중 외국인, 이민 2세, 귀화자 등 이주 배경인구가 5%를 넘으면 '다문화·다인종 국가'로 분류한다. 우리나라는 2023년 말로 이주 배경인구가 2508 천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4.9%를 차지하여 '다문화·다인종 국가' 진입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다양성은 다양한 종(種)이나 존재, 가치 등의 공존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이와 관련한 생물 다양성은 우리가 사는 지구생태계의 다양한 생물의 생존과 보존은 스스로 존재의 힘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생명의 토대이며, 공생의 장이며, 재생산을 통한 진화를 끌어낸다.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멸망한다"고 했다. 자연생태계를 파괴할 때 인류의 생존에도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 것이다. 문화 다양성 역시 유사한 개념으로 국가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 중 어느 하나의 문화가 상실할 경우 그 사회의 문화는 균형을 잃게 되고 사회통합과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까닭에 문화 다양성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학교에서부터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미래 우리나라를 이끌 공동 자원이라는 관점과 인식에서 출발해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 다문화 교육 전문가를 발굴 양성하고 다문화가족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환경을 줘야 한다. 이를 정부의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 등에 반영되어야 한다. 발달심리학자인 에릭슨의 '점성원리'를 끄집어내지 않더라도 인간발달이 유전적 요인에 의존한 일련의 단계에 의해 지배되며, 이전 단계의 발달을 토대로 다음 단계의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즉 유아기, 청소년기 등 특정 단계의 발달은 이전 단계의 발달과업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다문화가족의 어렸을 때의 교육환경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정부의 교육정책은 다문화가족에 대해 '기회의 평등' 관점에서 학습 여건이 주어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긴한 것이다.
두 번째, 지역사회 중심의 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 기술 함양이다. 어느 공익광고에서는 이주여성에게 이웃 한국 여성이 알림장을 읽어주는 모습을 보여주고 다문화가정에 친절하게 대해야 한다는 내용을 전달한다. 이 광고가 다문화와 이주여성에 대한 어떠한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있는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다문화가족 대상의 정책과 지원 방향은 '문제 중심'이 아닌 '강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금까지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한 정책과 지원의 내용을 보면 다문화가족의 특수성이 자녀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대책을 마련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서로 다른 문화적·언어적 배경을 가진 부모 사이에서 성장하는 데서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실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다문화 환경에서 적실성 있게 대응하는 자세일 것이다. 즉 공익광고에서는 알림장을 그 스스로 배우고 읽어 자신의 힘으로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는 후원자, 지지자로서 협력적 파트너 역할을 하는 모습을 연출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 감수성 증진을 통한 지역사회 통합은 다문화가족의 역량 강화(empowerment)에 중점을 두고,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학교 교육 강화, 다문화가족의 강점을 살린 실천 기술 함양과 이중언어의 구사가 세계화 시대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의 관심과 지지, 정책적 배려가 요구되도록 하겠다.
<김종삼 우송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