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과 부여 일대 지방하천인 지천이 하천 관리나 준설, 제방 만으로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은 곳곳에서 확인된다. 올해 7월 강수량은 연 강수량의 절반을 초과했다. 파주(873㎜), 부여(809㎜), 익산(704㎜)에 내린 비는 댐 추진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사실'이다. 지역경제 활성화 등 댐 건설의 본보기는 많다. 댐이 제공하는 환경친화적 편익으로 여행자의 명소가 된 경북 김천 부항면 소재 부항댐도 그중 하나다. '우리의 자원은 자연'이라는 청양 현지 일부 지역민의 순수한 마음에도 역행하지 않을 사례들이다.
총사업비 5561억원 중 502억원을 지역개발비로 책정했던 부항댐 방식을 댐 후보지인 지천에 원용하면 그에 못지않은 시너지 효과가 나올 수 있다. 출렁다리 하나가 주말 평균 4000여 명의 생활인구를 증가시키는 구실을 한다. 지천댐이 댐 본연의 기능인 홍수조절은 물론 관광과 시설 투자로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낼 수 있는 지점이다. 충남의 용수 수요량은 2031년이면 공급량을 넘어선다. 극한 가뭄에 대비한 물 수요 충족이 시급하다는 명제와 조화를 이뤘으면 한다.
이주정책금으로 부항댐 수몰지와 멀지 않은 곳에 조성한 이주단지까지 지천댐에 도입 가능한 모델이다. 댐 주변 지역인 부항면과 대덕면, 증산면 등에 주민 지원 사업은 매년 계속된다. 올해도 어김없이 부항댐 주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본 오사카 등지에서 해외문화체험학습을 마쳤다. 정부와 함께 충남도 역시 새로운 전원마을 조성 지원과 주변지역 정비 등의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상생의 열린 자세로 댐 건설이 가져올 획기적인 전환점을 피하지 않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