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열 수필가 |
막막한 우주에서 두 개의 우주 비행선이 접선하는 사건을 랑데부라 한다. 동일 궤도에서 마주해 도킹에 성공하기까지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든다. 마찬가지로 엄마의 자궁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해 세상에 울음을 터트리기까지도 그럴 것이다. 어느 날 태어나고 자각하니 부모와 자식으로 이루어진 가족 관계망에 편입된다. 최초에서 내려오는 무수한 인연 중 우연히 한 사건이라도 생겨 삐끗했다면 필연의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가족이란 인연은 알 수 없는 깊은 심연으로부터 나오는 인생의 최대 신비다. 우연인 듯 필연으로 맺어진 가족의 모습이 변하고 있다.
지난 시절은 대가족이었다. 산업화와 도시화로 소가족이 되었고 핵가족으로 변해간다. 이제는 애당초 1인 가족, 무자녀 가족까지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는 여성이 정자를 사서 임신해 아빠 없는 가족이 형성되는 일도, 반려 가족도 생겼다. 머지않아 휴머노이드와의 가족관계도 도래할 전망이다. 가족 관계망은 비혼이나 저출산 등으로 성글어져 간다.
호모 사피엔스는 가족이란 울타리 속에서 키워져 문명을 꽃피웠다. 가족이란 무엇인가?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주로 부부를 중심으로 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다.'라고 되어 있다. 챗GPT한테 미래사회의 가족의 역할에 관해 물어보니 '미래에는 여러 형태의 가족이 공존하게 된다.'라고 답한다.
지난 시절 가족들은 좁은 집에서, 동네에서 얽히고설키며 정이 들었다. 분가 후 뿔뿔이 흩어져 몇 년에 가끔 보아도 거리감이 없다. 하지만 요즘 세대는 다르다. 방계가족은 처음부터 얼굴 보기가 쉽지 않다. 어쩌다 결혼과 같은 집안 행사가 있을 때만 겨우 보니 거의 남 같은 수준이다. 우리 집안만 해도 형제에서 뻗어 나간 사촌끼리 전화하거나 만나지 않고 있다. 가까운 사이니 가끔 전화해 안부를 묻고 만나보라고 일러주어도 갈길 바쁜 그들은 건성으로 듣는다. SNS에서도 연결되지 않는 관계에서 무슨 가족애가 있겠는가.
오늘날 MZ세대의 가족 개념에는 나이 든 부모가 있을 자리도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들은 동거하지 않는 부모를 자기들이 필요할 때 도움을 주는 일방적 관계로 여긴다. 대신 반려견이 가족 자리를 꿰찬다는 이야기가 사실처럼 돈다. 가족이 있어야 명절에 화기애애한 웃음꽃이 피어난다. 옛날 부모들은 온 가족이 모여 손주들과 함께 밥 먹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고 말하였다. 가족이란 구심력이 약해지니 명절에 갈 곳 잃은 사람들로 소문난 식당과 커피숍은 북새통이다.
수천 년을 이어온 가족공동체가 변화의 용틀임을 하고 있다. '개모차'가 유모차보다 더 많이 팔리는 세상이다. 지금처럼 우리 사회의 분위기가 아기를 낳지 않거나 결혼하지 않고 저출산이 지속되는 쪽으로 질주한다면 가족의 범위는 점점 좁아질 것이다. 끝내 이모 고모 삼촌과 같은 이름을 잃게 될지도 모른다.
세상 사는 재미는 사람 속에 있다. 한가위 보름달은 그것을 알려주기라도 하는 듯 둥글기만 하였다. 오래전 고향에 내려가 추석 차례를 지낸 후 어머니가 잔뜩 챙겨준 먹을거리를 차에 싣고 저녁에 덕유산을 넘고 있었다. 산 너머로 둥실 떠 있는 보름달은 그렇게 크고 붉고 환할 수가 없었다. 그 광경은 자식들이 분가한 지금도 가족이란 기억으로 뚜렷이 각인되어 있다. 차례상을 준비하는 정(情)이 사라진다면 추억을 잃은 가족은 어떤 모습으로 변해갈까. 김태열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