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영민 대표 |
9월 첫주 양성평등주간을 맞이하여 준비한 대전여성영화제 상영작 중 '딸에 대하여'영화 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시지정보조금 사업으로 수탁하여 양성평등주간 행사를 추진해오던 대전여성단체연합은 대전시와 영화 상영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만났지만 '딸에 대하여' 영화에 성소수자가 나온다는 이유로 양성평등주간에 상영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니 다른 영화로 대체하라는 공문을 보내왔다. 대전여성단체연합은 누구든 어떤 이유로든 배제와 혐오를 용인하면 안 된다는 의견을 모아 보조금을 전액 반납하고 시민후원금을 모아 계획대로 영화제를 성황리에 마쳤다.
'딸에 대하여'영화를 보고 감독과의 대화까지 참여한 후, 난 영화와 감독의 성숙함에 매료되었다. 성소수자는 말 그대로 우리 사회의 소수자를 대변하는 하나의 기표일 뿐이었다. 애초에 그렇게 알고 있었지만 영화를 보고 나서는 이런 영화를 왜 상영하지 말라고 했을까 의아했다. 남편을 먼저 보내고 요양보호사로 일하는 엄마와 시간강사로 일하는 딸과 딸의 동성연인이 영화의 주요 인물이지만 이 영화의 핵심 주제는 나이듦과 돌봄, 가족과 사랑에 관한 이야기였다. 전세값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동성연인과 엄마집에 들어온 딸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엄마, 그 엄마가 요양원에서는 환자의 부당한 처우에 대해 맞서는 요양보호사였다. 가족과 모녀, 삶의 복합성을 그대로 드러낼 뿐 어느 것도 판단하지 않는 이미랑 감독의 카메라는 성정체성 너머 사람에 대한 사랑과 존엄이 깃들어 있었다.
양성평등주간이니까 양성인 남녀평등만 얘기하면 되지 왜 성소수자 소재 영화를 상영해야 하느냐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양성평등은 젠더 이퀄리티(gender equality) 개념을 협소하게 해석한 것이다. 양성평등은 여성주의의 덫이라는 말이 있다. 평등은 남녀뿐 아니라 성차별과 사회구조적 차별을 함께 제거해나가는 의미지 남녀평등만 실현하자는 의미는 아니다. 여성주의 자체가 이미 노동, 정치, 환경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평등은 똑같아지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공정한 대우를 받는 것이다. 여성혐오, 다양한 혐오의 근저에는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이분법적 구조가 공고하게 짜여있다.
개인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요소들이 무엇이든지 그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환대의 공동체가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 아닐까. 비단 성정체성뿐 아니라 누구와 살 것인가, 누구와 가족을 구성할 것인가, 어떻게 살 것 인가의 문제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다. 내가 정한 기준과 틀을 정해놓고 자기 입장과 생각이 다르다고 말할 순 있지만 그들의 권리를 침해할 순 없다.
'딸에 대하여'상영에 대하여 상영 중지 민원을 넣었던 분들이 기독교계 일부 사람들이라고 들었다. 기독교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예수의 복음이 사람을 구별해서 전달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성별, 계층, 인종, 장애여부, 성정체성에 상관없이 종교가 모든 개별적인 존재의 권리를 확장하는 일에 헌신해야 하지 않을까.
우여곡절 속에 단 며칠 사이 498명이 후원금을 보내와 '파도를 넘어, 성평등으로' 2024 대정여성영화제 행사가 성료되는 것을 보면서 애초에 페미니즘이 타자에 대한 이해와 소수자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려는 움직임에서 생겨났다는 점을 다시 확인했다. 누구도 차별받지 않는 세상, 성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길 희망하는 사람들, 솔선해서 대여비를 받지 않고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해준 영화사와 함께 이뤄낸 2024 대전여성영화제가 모두의 영화제가 되었기에 더 뿌듯하고 자랑스럽다.
/최영민 대전평화여성회 공동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